학술논문
가정환경과 창의성과 학업성적과의 관계
이용수 971
-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income,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저자명
- 성은현(Eun-Hyun Sung) 김누리(Noo Ree Kim)
- 간행물 정보
- 『창의력교육연구』제11권 제1호, 5~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5.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가정환경 중 월 소득이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의 남ㆍ여학생에게 창의적 가정환경 검사와 창의적 산물 검사를 실시하였고 국어, 영어, 수학, 음악과 미술과목의 학업성취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가정환경 진단 검사 중 사회경제적 변인에 관한 질문을 실시하였다. 응답 자료를 토대로 Perason 적률상관분석과, 일원변랑분석, Barron과 Kenney(1986)의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월 소득은 창의적 가정환경과 학업성취 중 국어, 영어, 수학 성적과만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미술, 음악 성적과 창의적 산물은 월소득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창의적 가정환경은 학업성취 중 수학과 미술 성적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창의적 산물은 어떠한 과목의 학업성적과도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가정의 월소득은 창의적 가정환경을 매개로 수학과목에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income, children’s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ne hundred twenty-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took tests of creative environment and creative product. We examin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scores (Korean, English, mathematics. music and art). Also their par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 socio-economic environment. We analysed the data through Pearson correlation, one way ANOVA and Barron & Kenny’s mediation model by using SPSS 14.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amily income and creative environment. There a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amily income and academic achievement(literature, english, mathematics scores). Second, there are significants correlations between creative environ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and arts. Third, there are no significants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product and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family income influences mathematics score through creative family environ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