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rid Form of Bauhaus Textiles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문미영(Moon, Mi-you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4집 1권, 10~27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바우하우스 텍스타일은 순수추상 양식의 도입에 의한 기하추상의 영향으로 그리드형식으로 발전되고 바우하우스 형태교육을 통하여 그리드양식을 형성한다. 그리드는 물질의 실현을 상징하는 통일성과 전체성을 함유하며 수평선과 수직선의 교차에 의해 생성되는 그리드는 물질과 정신의 교차에 의한 운동의 원리로 작용한다. 칸딘스키, 클레, 이텐의 형태이론은 수평ㆍ수직의 대비관계와 선의 의한 그리드 구조 연구로 내적요소와 외적요소의 이원적 사고에 의한 구성방식에 적용된다. 수평ㆍ수직의 조형적 대비관계에 의한 대립구조는 바우하우스 텍스타일에서 비대칭구조로 표현된다. 이러한 비대칭 균형원리는 서로 대립하면서 균형을 이루려는 수평ㆍ수직의 이원성에 근거하며 구성에서 통일성과 전체성을 유지하려는데서 기인한다.
본 연구는 바우하우스 형태이론을 중심으로 그리드가 함의하고 있는 구조적 특성을 제시하고, 구조분석을 통하여 수평ㆍ수직성과 반복성을 규정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바우하우스 텍스타일은 평면을 그리드로 환원시키는 것이었고, 이는 산업직물의 원형을 위한 규격화된 형태의 창조에서 근거하였다. 바우하우스 텍스타일의 구성방식은 소단위의 형태를 반복함으로서 대단위를 형성하는 반복구조로 그리드 간의 위계성을 동등성으로 대치시킨다. 이러한 동등성의 구조는 그리드의 한계를 확장하고 축소할 수 있게 만든다. 바우하우스 텍스타일에서의 그리드는 최소의 표현형식으로 불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축소하여 순수조형에 이르는 본질적 의미의 표상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Bauhaus textiles precede the grid form inspired of abstract geometry which is based on pure abstract forms. The grid form of comtemporary textile art came from Bauhaus theory of plastic form which is accepted the spirit of geometry. Bauhaus textiles formulate the grid form receiving theories of Kandinsky, Klee and Itten. In geometry, grid means unity and wholeness which is symbolized matter. Grid can be transferred symbolically to the crossing of a vertical with horizontal which gives an ‘action principle’, such as the crossing of matter and spirit. The oppositional structure of contrasting a vertical with a horizontal makes space asymmetry. There is the principle of asymmetry, which deals with oppositional elements and forms duality of a vertical with horizontal structure. maintaining unity and whol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defines the character of grid structure centering on Bauhaus grid theory, and also considers a vertical with horizontal and repetition through analyzing grid structure. Bauhaus textiles consist the whole unit by repeating the equal one unit. In this case, it can be considered repetitional structure in that process and result are equivalent in the procedure of composition. Grid can be interpreted a symbol of essential meaning which achieves pure form according to reduce to an atomic form as a primary uni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