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
이용수 3,137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of Family Strength and School Maladjustment Perceived by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가족학회
- 저자명
- 김현주(Kim Hyun-Ju) 이혜경(Lee Hye-Kyong)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문화』가족과 문화 제23집 1호, 77~10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간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학교환경(친구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과의 관계를 통해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부적응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가족구조(부모의 결혼 유형)에 따른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를 비교해 봄으로써 가족건강성의 중요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2,2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0.0과 Amos 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가족구조에 따라 가족건강성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부모동거가족이 부모해체가족보다 가족건강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구조에 관계없이 학교환경 보다는 가족환경인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발견하였다. 즉 가족건강성은 다른 환경체계보다도 학교생활부적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증명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족건강성이 부모동거가족과 부모해체가족 모두에게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면서 학교생활적응에서 가족건강성이 갖는 의미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viewpoints of Family Strength on the school maladjustment perceived by adolescents. The sample was consisted of 2,298 student who were drawn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Gyeonggi-do and Seoul. We tested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to teachers and also to friends between intact families and separated famili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Family Strength of intact family was higher than that of separated family. Second, the level of family strength was more effective on the school maladjustment than teachers or friends. In both intact family and separated family, the family strength played the vital role to reduce the school maladjustment. We suggested that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 has to be analyzed in a more comprehensive wa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