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IPP 평가 모형을 적용한 기업 코칭교육 만족도 연구

이용수  1,163

영문명
A Study on Course Satisfaction of Corporate Coaching Training Programs Applying CIPP Evaluation Model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송영수(Youngsoo Song)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5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급격한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생존방안으로 리더십 및 직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코칭교육이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칭교육의 학습 환경 요인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기업 코칭교육의 설계 및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으며, 코칭교육의 만족도 개선과 체계적인 피드백을 위해 CIPP 평가 모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H 코칭센터의 코칭교육을 이수한 학습자 118명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학습자가 인식하는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교육 학습환경 요인 중 학습자의 인식이 가장 높은 항목은 코칭교육에 대한 조직차원의 필요수준, 코칭철학, 코칭 스킬, 학습자 특성, 학습 성과, 상호작용 및 피드백, 코칭 프로세스, 학습 내용, 코칭교육에 대한 조직차원의 지원수준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코칭교육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습 성과, 학습자 특성, 피드백, 코칭 스킬, 코칭 철학,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즉 코칭교육 만족도에는 코치의 역량도 중요하나 학습자들이 기대하는 성과와 그들의 특성에 맞춰 명확한 코칭활동들을 진행하는 교육활동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 코칭교육의 학습 환경 요인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수준과 코칭교육의 설계 및 운영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인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With rapid changes in managerial environment, corporate coaching training programs, which are regarded as one of the leadership training for survival, are being highlighted. The research on effects and course satisfaction of corporate coaching training programs provides discussion for the direction of corporate coaching train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learners` recognition and course satisfaction in learning context components of corporate coaching training programs. CIPP evaluation model is used in order to improve and to give systematic feedback. 118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coaching training program by H coaching center are selected.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highest variables that affect the learners` recognition in learning context components are `requirements of organizations`, `coaching philosophy`, `coaching skills`, `learners` characteristics`, `learning performance`, `interaction and feedback`, `coaching process`, `learning contents`, and `organizational supports`. Secon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ourse satisfaction of coaching training programs are `learning performance`, `learners` characteristics`, `feedback`, `coaching skills`, `coaching philosophy`, and `interaction`. Although coaches` competencies are important in course satisfaction of coaching training programs, coaching activities that focused on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their expectations are regard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suggests the priority factors in designing and managing the corporate coaching training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영수(Youngsoo Song). (2010).CIPP 평가 모형을 적용한 기업 코칭교육 만족도 연구.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5 (2), 1-22

MLA

송영수(Youngsoo Song). "CIPP 평가 모형을 적용한 기업 코칭교육 만족도 연구."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5.2(2010):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