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Dose Delivery Error in Conformal Arc Therapy Depending on Target Positions and Arc Trajectories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강민영(Min-Young Kang) 이보람(Bo-Ram Lee) 김유현(You-Hyun Kim) 이정우(Jeong-Woo Lee)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4권 제1호, 51~5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조사 시 표적종양의 위치변위와 갠트리의 조사반경에 의한 치료깊이 변화에 따른 모의치료계획 결과와 선량전달 결과상의 오차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깊이 변위가 가장 이상적인 경우, 즉 팬텀의 중심에 표적이 위치한 경우와 한쪽으로 2.5 cm, 5 cm씩 치우친 경우로 나누어 모의실험하였다. 표적의 위치 변화에 따른 모의치료계획을 실시하기 위하여 IMRT Body 팬톰(I'mRT Phantom, Wellhofer Dosimetry, Germany)를 이용하여 전산화단층촬영장치(Computed Tomography, Light speed 16, GE, USA)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획득된 영상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장치(Treatment Planning System, Eclipse, ver. 6.5, VMS, Palo Alto, USA)를 이용하여 정중앙, 2.5 cm, 5 cm에 가상의 치료표적을 만들어 모의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선형가속기(CL21EX, VMS, Palo Alto, USA)의 6 MV 광자선과 최근 개발된 Gafchromic 필름(EBT2, ISP, Wayne, USA)을 이용하여 선량분포를 측정하였고, 선량분석프로그램(OmniPro-IMRT, ver. 1.4, Wellhofer Dosimetry, Germany)을 이용하여 모의치료계획 데이터와 측정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프로그램으로 횡축방향 선량분포 프로파일(Cross-plane profile)과 선량분포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감마인덱스(DD: 3%, DTA: 2 mm) 히스토그람을 이용하였다. 표적과 표적주변의 선량분포는 Conformity index(CI), Homogeneity index(HI)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치료표적 전체체적에 대한 100% 선량분포에 포함되는 체적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표적의 위치가 5 cm에 있는 경우 다문동적회전조사(Multiple Conformal Arc Therapy, MCAT)는 23.8%, 단일동적회전조사(Single Conformal Arc Therapy, SCAT)는 35.6%, 고정조사는 37%였고, 표적이 2.5 cm에 있는 경우 MCAT 61%, SCAT 21.5%, 고정조사 14.2%로 분석되었다. 표적의 위치가 중앙에 있는 경우 MCAT 70.5%, SCAT 14.1%, 고정조사 36.3%로 나타났다. 표적의 위치가 5 cm 치우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MCAT의 100% 선량분포에 포함되는 체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감마인덱스 히스토그램 분석결과, SCAT의 경우 37.1, 27.3, 29.2로 MCAT의 경우 9.2, 8.4, 10.3에 비해 최소 2.8배, 최대 4배 오차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적조형회전조사 시 표적종양의 위치변이와 조사반경의 변화에 따라 선량전달오류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으며 치료표적의 위치가 정중앙이 아닐 경우, 깊이와 회전반경을 최적화함으로써 정확한 선량전달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dose delivery error depending on the depth variation according to target positions and arc trajectories by comparing the simulated treatment planning with the actual dose delivery in conformal arc therapy. We simulated the conformal arc treatment planning with the three target positions (center, 2.5 cm, and 5 cm in the phantom). For the experiments, IMRT body phantom (I’mRT Phantom, Wellhofer Dosimetry, Germany) was used for treatment planning with CT (Computed Tomography, Light speed 16, GE, USA). The simulated treatment plans were established by three different target positions using treatment planning system (Eclipse, ver. 6.5, VMS, Palo Alto, USA). The radiochromic film (Gafchromic EBT2, ISP, Wayne, USA) and dose analysis software (OmniPro-IMRT, ver. 1.4, Wellhofer Dosimetry, Germany) were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planned arc delivery using 6 MV photon beam from linear accelerator (CL21EX, VMS, Palo Alto, USA). Gamma index (DD: 3%, DTA: 2 mm) histogram and dose profile were evaluated for a quantitative analysis. The dose distributions surrounded by targets were also compared with each plans and measurements by conformity index (CI), and homogeneity index (HI). The area covered by 100% isodose line was compared to the whole target area. The results for the 5 cm-shifted target plan show that 23.8%, 35.6%, and 37% for multiple conformal arc therapy (MCAT), single conformal arc therapy (SCAT), and multiple static beam therapy, respectively. In the 2.5 cm-shifted target plan, it was shown that 61%, 21.5%, and 14.2%, while in case of center-located target, 70.5%, 14.1%, and 36.3% for MCAT, SCAT, and multiple static beam therapy, respectively. The values were resulted by most superior in the MCAT, except the case of the 5 cm-shifted target. In the analysis of gamma index histogram, it was resulted of 37.1, 27.3, 29.2 in the SCAT, while 9.2, 8.4, 10.3 in the MCAT, for the target positions of center, shifted 2.5 cm and 5 cm, respectively. The fail proportions of the SCAT were 2.8 to 4 times as compared to those of the MCAT. In conclusion, dose delivery error could be occurred depending on the target positions and arc trajectories. Hence, if the target were located in the biased position, the accurate dose delivery could be performed through the optimization of depth according to arc trajectory.
목차
Ⅰ. 서 론
Ⅱ. 방법 및 재료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적조형회전조사 시 표적종양의 위치변위와 조사반경의 변화에 따른 선량전달 오류분석
- 치과 방사선 검사에서 유효선량 평가
-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방영상검사 분석
- 망간 노출 용접공의 인지수행에 따른 뇌 활성화 정도 분석
- Valve포트와 Non-Valved포트 사용에 따른 문제점의 비교 분석
- 소아암 환자의 양성자치료 시 DIPS 촬영에 따른 피폭선량
- Contrast Method를 이용한 디지털 X선 영상과 필름 영상의 영상 질(Quality) 평가
- 몬테카를로 방법에 의한 6 MV 선형가속기의 광자 흡수선량 분포 평가에 관한 연구
- 방사선 영상의 물리적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소아 복부 CT의 신체 크기 특이적 선량 추정치 평가
-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제27권 제2호 목차
- 소아 CT 데이터의 효과적인 잡음 제거: 성인 CT 데이터 기반 미세조정 기법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