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치과 방사선 검사에서 유효선량 평가

이용수  106

영문명
Evaluation of Effective Dose in Dental Radiography
발행기관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저자명
한수철(Su-Chul Han) 이보람(Bo-Ram Lee) 신귀순(Gwi-Soon Shin) 최종학(Jong Hak Choi) 박혁(Hyok Park) 박창서(Chang-Seo Park) 장계용(Kye-yong Chang) 김보람(Bo-Ram Kim) 김유현(You-Hyun Kim)
간행물 정보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4권 제1호, 27~33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방사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3.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의료 방사선 장비 또한 첨단화 되고 있으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게 되어 의료의 질적 향상은 물론 양적인 면에서도 그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환자 피폭선량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CT(Computed Tomography) 촬영의 건수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치과 방사선 검사의 경우 정확한 병변 진단을 위한 CT 및 CBCT(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의 도입으로 과거에 비해 환자는 많은 선량을 받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체 팬텀과 TLD-100H를 이용하여 치과 방사선 검사별 조직의 흡수선량을 측정하고 ICRP 60, 103에 따라 유효선량을 계산하였다. ICRP 60, 103에 따른 유효선량 값은 파노라마 검사의 경우 5.1μSv, 29.5μSv, 세팔로 검사의 경우 11.2μSv, 14.4μSv, 이며 CBCT는 상악골의 경우 53.7μSv, 209.6μSv, 하악골은 129μSv, 391.5μSv 그리고 CT에서는 상악골의 경우 93.3μSv, 139.5μSv이며 하악골은 282.7μSv, 489.7μSv로 평가 되었다. CBCT 검사의 경우 유효선량은 CT 검사에 비해서는 적지만 파노라마 검사 및 세팔로 검사에 비해서는 높게 평가되었다.

영문 초록

Along with the developments of science technology, up-to-date medical radiation equipments are introduced. Those equipments has brought many progresses in diagnosing patients not only in the quantitative aspects but in the qualitative ones. Especially, in the case of dental radiography, patients can be exposed more than 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n this study, we used human phantom and TLD-100H to measure the organ dose in each dental radiography and computed the effective dose according to ICRP (International Committee for Radioactivity Prevention) 60, 103. We measured the effective dose to be 5.1 and 29.5μSv in the panoramic radiography and 11.2 and 14.4μSv in the cephalometric radiography respectively. We also executed the CBCT and CT test on the maxillaries and the mandibles and found the amounts of effective dose were 53.7, 209.6, 129, and 391.5μSv respectively in the CBCT and 93.3μ, 139.5, 282.7 and 489.7μSv in the CT test. Consequently, it was shown that the effective dose in the CBCT test was lower than one in the CT test, but was higher in both panoramic and cephalometric radiography.

목차

Ⅰ. 서 론
Ⅱ. 실험재료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수철(Su-Chul Han),이보람(Bo-Ram Lee),신귀순(Gwi-Soon Shin),최종학(Jong Hak Choi),박혁(Hyok Park),박창서(Chang-Seo Park),장계용(Kye-yong Chang),김보람(Bo-Ram Kim),김유현(You-Hyun Kim). (2011).치과 방사선 검사에서 유효선량 평가. 방사선기술과학, 34 (1), 27-33

MLA

한수철(Su-Chul Han),이보람(Bo-Ram Lee),신귀순(Gwi-Soon Shin),최종학(Jong Hak Choi),박혁(Hyok Park),박창서(Chang-Seo Park),장계용(Kye-yong Chang),김보람(Bo-Ram Kim),김유현(You-Hyun Kim). "치과 방사선 검사에서 유효선량 평가." 방사선기술과학, 34.1(2011): 27-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