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척수 손상 쥐에 실시한 특정 과제 운동이 운동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9
- 영문명
- Effects of Specific Exercises on Motor Function Recovery in Rats With Experimental Spinal Cord Injury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전경희(Kyoung-hee Ju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8권 제1호, 93~10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2.28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motor function recovery and the appropriate period for therapy. The research began with spinal laminectomy of 40 white rats of Sprague-Dawley breed and induced them spinal crush injury.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using the modified Tarlov test (MTT), Basso, Beattle, Bresnahan locomotor rating scale (BBB scale) and modified inclined plate test (MIPT). First, the measurement using the MTT confirm that the most severe aggravation and degeneration of functions are observed two days after induced injury, and no sign of neuromotor function recovery. Second, better scores were achieved by open-ground movement group on BBB locomotor rating scale test, and weight-bearing on inclined plate group show better performance on MIPT. Third, both BBB and MIPT scale manifested the peak of motor function recovery during 16th day after the injury and turn into gradual recovery gradient during 16th to 24th. Fourth, the control group showed functional recovery, however, the level of recovery was less significant when compared with group open-ground movement group and weight-bearing on inclined plate group. hence, it was clearly manifested that the lumbar region of the spinal cord has shown the best performance when its functions were measured after the execution of specific physical training; therefore it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learning specific task even in damaged lumbar regions. Thus it is expected to come out with better and more effective functional recovery if concentrated physical therapy was applied starting 4 days after the injury till 16 days, which is the period of the most active recove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특이성 만성요통 유무에 따른 무산소성 역치수준 비교
- 뇌졸중 환자에 대한 기능적 보행평가의 신뢰도
- 체간안정화 운동프로그램이 한센병력노인의 발바닥 감각상태에 따른 정적.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 견관절 외전 각도에 따른 중간 및 하부 승모근의 근 활성도 비교
- 외복사근과 다열근에 대한 초음파 영상과 표면 근전도 측정방법의 신뢰도와 타당도
- 푸시업플러스 시 근전도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전거근의 선택적 강화
- 전신 기울기 운동 시 시각적 바이오피드백이 올바른 자세 유지 시간과 체간 근육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삼두근 근력 운동 시 운동 자세와 전완 자세에 따른 삼두근 장두와 외측두의 근 활성도 비교
- 미세전류자극 강도가 흰쥐의 골관절염 회복에 미치는 영향
- 도수 촉진과 막대를 이용한 몸통의 전방 굴곡 운동에 따른 요추와 고관절 굴곡 각도의 변화
- 척수 손상 쥐에 실시한 특정 과제 운동이 운동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