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파트 옥외공간의 속성분류를 통한 잠재수요자의 지역간 선호도 차이 분석
이용수 47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sident's Satisfaction Degree and Preferences of the Outdoor Space in Apartment Housing through Attributes Segmentation - Comparative Analysis on Metropolitan Region and Regional Region -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황규성(Hwang, Kyu Sung) 이찬호(Lee, Chan Ho)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43輯, 158~172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ctual usage of the outdoor space and the need of this space by each attributes for the outdoor space within the multi-family housing complex in metropolitan region and regional region.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focused on survey analysis. The data for this analysis were collect from the questionnaire. The collection of data was done by random sampling, which consider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nd age, out of 368 people from metropolitan region and 487 people from regional region. This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outdoor space, we've classified the outdoor space by (1)Communication type, (2)Health type, (3)Amenity type, (4)Education type within the multi-family housing complex. Especially this study used to the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T-test by SPSS 12.0 as statistical package. (3) RESEARCH FINDINGS The appropriate outdoor spaces which should be emphasized in the future are health type and the amenity type. The metropolitan region and regional region is showing the differences in each items, but after conducting a statistical t-test on the difference between metropolitan region and regional reg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areas. 2. RESULTS (1) From the result, which analyzed the items for general attributes, the interest of residents on the outdoor space was very high. The satisfactions on the current outdoor space were very low and the dissatisfaction seemed much greater for the younger group. (2) The most deficient outdoor space types were the amenity type and the health type. (3) The health typed outdoor space was most often used and the usage of this outdoor space was higher as the age group was higher. (4) The appropriate outdoor spaces which should be emphasized in the future are health type and the amenity type. (5) Finally, for the question which asked the additional cost for better outdoor space, all genders in all age range responded that the reasonable additional fee was 1~5% of the selling price.
목차
I. 서 론
II. 옥외공간의 이론적 배경
III. 분석 방법
IV. 옥외공간에 대한 분석 결과
V. 결론 및 추후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빌딩 자산관리 자격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의 부동산법제에 관한 비교연구 (2)
- 이자율의 변화가 재건축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아파트 옥외공간의 속성분류를 통한 잠재수요자의 지역간 선호도 차이 분석
- 자산재평가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
- 우리나라 지적제도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주택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세제도의 헌법적 한계
- 미국 부동산자산관리시장 분석 및 시사점 연구
- 오피스 가격지수의 개발 및 거시경제변수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유티쿼터스 도시 개발 활성화를 위한 기본연구
- 상업지역 야간경관조명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 주상복합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개발밀도지표 비교분석
- 부동산금융의 개념과 이론적 접근
- 부동산 담보부 부실채권의 낙찰가격과 경제지표와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 업종에 따른 정비사업지구 상가임차인의 재정착의향 결정요인 분석
- 풍수지리적 입지해석에 관한 연구
- 부동산중개사무소의 상가권리금 결정에 관한 연구
- 첨단산업시설 집적지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부동산마케팅에서 포지셔닝과 차별화 전략에 관한 연구
- 주택재개발사업에 신탁방식의 적용가능성
- 중국의 도시 건물 철거보상 및 이주정착 제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뉴타운 개발사업에 대한 도시유형론 분석
- 서울시 뉴타운 사업에서의 주민 합의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부동산 경매에 있어서 유치권의 효력 범위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