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Cognition in the Elderly
- 발행기관
- 대한노인정신의학회
- 저자명
- 장기중(Ki Jung Chang) 이강수(Kang Soo Lee) 김현정(Hyun Jung Kim) 정해관(Hae Kwan Cheong) 오병훈(Byoung Hoon Oh) 홍창형(Chang Hyung Hong)
- 간행물 정보
- 『노인정신의학』노인정신의학 제13권 제2호, 91~9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 We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cognition in the elderly. Methods : Data obtained from 1,496 subjects (510 men and 986 women) aged above 60 years was analyzed from the Gwangju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Study (GDEMCIS). All subjects completed the study questionnaire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istory of current and past illnesses, drug history, Korean versio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and Short Form Korean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K).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were defined in two different ways;worse than others (SMC-O) and worse than one's past (SMC-P). Results : On analysis of covaria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estimated marginal means of K-MMSE score among five SMC-P groups (much improve : 18.0, little improve : 21.3, not changed : 21.2, little worse : 21.1, much worse : 20.2) after adjusting age, sex, educational level and depression (F=9.63, df=4, p<0.0001, adjusted R2=0.375).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estimated marginal means of K-MMSE score among three SMC-O groups (below peer's average : 20.4, peer's average : 20.9, above peer's average : 21.8) after adjusting age, sex, educational level and depression (F=4.89, df=2, p=0.043, adjusted R2=0.0.361).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may be an indicator of o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in the elderly.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 검사(AUDIT: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개발: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