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木浦港 開發 및 大佛 産業團地 造成에 따른 沿岸海域 海面變化

이용수  5

영문명
The Changes of Coastal Water Level due to the Development of Mokpo Harbor and Construction of Daebul lndustrial Complex
발행기관
한국항해항만학회
저자명
鄭明善 李重雨
간행물 정보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1991 하계학술발표회, 37~4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해양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1.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산강 하구언 방조제의 건설로 인한 항만 및 이의 인접해역 해면의 변화는 예상한 바 있으며 실제 여러 개소에서 월 2회정도의 주기로 목포 구항부근 상업지역에서 해면상승에 따라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목포항의 영산강 하구언 방조제 조성으로 인한 조류성분중 최고기록을 가진 수로에서는 6kts정도로 감소된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주위자연환경 변화에 따른 수면상승 및 해수면의 주기적인 변화 등에 대한 상세한 언급 및 깊이 있는 분석은 회피되어 왔다. 수자원의 효율적관리를 위해 하구언 방조제는 이미 건설되었고, 앞으로 대규모의 항만개발과 대불산업단지조성을 위해 추가 3개의 만입해안해역에 댐으로 해역을 막아 매립공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에 대한 분석은 타당성의 여부만을 강조한 상업적 용역이 이루어지고 있고 장래 개발에 대해 학술적이고 실질적인 문제점 추출과 해결 방안에 대해서는 무시하거나 경시한 바가 많다. 더구나 태풍, 저기압 등과 같은 자연재해를 고려한 분석은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개발전후의 현상에 대한 상세한 자료 및 현장 조사와 극한상태를 고려하여 개발에 따른 수위상승, 부진동, 조류, 수질 등, 이 해역의 변화요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과학적 접근방법에 기초를 둔 수치모델의 실험을 포함하여 현장관측 및 측정자료를 검증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사료되어 종합분석의 한단계로 여기서는 하구언 및 하구간척(Land Reclamation of Estuary barren)으로 해역축소에 따른 해면변화의 실제현상을 조사하여 정리하고 이를 수치모델을 통해 시뮬레이션하여 보았다. 이는 종합개발의 좋은 기초자료로 이용됨은 물론이고 이지역의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목차

1. 序論
2. 木浦港의 海域環境
3. 基本方程式
4. 數値모델實驗 및 分析
5.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鄭明善,李重雨. (1991).木浦港 開發 및 大佛 産業團地 造成에 따른 沿岸海域 海面變化.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91 (2), 37-44

MLA

鄭明善,李重雨. "木浦港 開發 및 大佛 産業團地 造成에 따른 沿岸海域 海面變化."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91.2(1991): 37-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