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일 보험계약법상 잠정적인 보상에 대한 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n provisional coverage agreement in german insurance contract law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저자명
- 최병규(Choi, Byeong-Gyu)
- 간행물 정보
- 『재산법연구』財産法硏究 第27卷 第2號, 131~15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0.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germany provisional coverage agreement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motor insurance. By the registration of car the authority asks for insurance certificate. But the insurance company is going to check up the risk
thoroughly. In this process provisional coverage agreement is designed and in the practice used widely. The people make use of provisional coverage as usual in the process of car registration. In germany(2007) there was heavy reform in the field of insurance contract law. It was effected on 1. jan. 2008. There were no regulation about provisional coverage in german insurance contract law before. But the legislator has some regulations(49~52 german insurance contract law(VVG)) about provisional coverage by the reform 2007. This study concentrates on showing the detailed contents of german regulation and theories about provisional coverage agreement. The author has tried to pick out some suggestions from german discussions. Nowadays many countries are making effort to get better insurance contract law. The current korean insurance contract law in korean commercial code was effected in 1963. It has many problems. The reform discussion about korean insurance contract law is
being done in korean national assembly. By the reform discussion in korea we can also consider adopting some regulations about provisional coverage agreement. Thereby german discussions, court decisions and law can give us very useful suggestions.
목차
Ⅰ. 머리말
Ⅱ. 독일의 내용
Ⅲ. 한국의 실무
Ⅳ. 시사점과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넷쇼핑몰거래에 있어 착오취소에 관한 주요쟁점
- 연예인과 관련된 분쟁에서 중재제도의 활용에 관한 소고
- 독일 보험계약법상 잠정적인 보상에 대한 연구
- 소비자법 민법전편입의 이론적 근거와 방향성
- 입주자대표회의의 방해배제청구권
- 民事上 公人에 대한 名譽毁損責任의 成立要件
- 이자제한법에 의한 고리규제
- 일본의 사외이사제도를 둘러싼 최근 동향과 과제
- 중국 불법행위법상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 하자담보책임법 개정을 위한 논의와 방향성을 위한 소고
- 생명보험 표준약관상 보험계약의 특별부활에 대한 제언
- 다단계판매의 개념 및 판단기준에 대한 고찰
- 사이버명예훼손 피해의 민사적 구제에 관한 고찰
- 전속계약에 따른 법적문제와 해결방안
- 集合債權 讓渡擔保와 否認權의 行使
- 특수지역권의 재고
- 契約解除時 履行利益과 信賴利益의 關係에 관한 小考
- 계약상 의무위반과 구제법리
- 통합도산법상 특수관계인 규정의 개선 제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