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Concurrent Chemotherapy and Postoperative Prophylactic Paraaortic Irradiation for Cervical Cancer with Common Iliac Node Involvement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한태진(Tae Jin Han) 우홍균(Hong-Gyun Wu) 김학재(Hak Jae Kim) 하성환(Sung Whan Ha) 강순범(Soon-Beom Kang) 송용상(Yong-Sang Song) 박노현(Noh-Hyun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28권 제3호, 125~13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자궁경부암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 림프절 침범은 중요한 예후인자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총장골동맥림프절 침범 시 대동맥주위림프절에 대한 예방적 방사선조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총 909명의 환자가 서울대병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았다. 골반 내 림프절 침범이 있는 환자는 375명이었고 총장골동맥림프절 침범이 있는 환자는 69명이었다. 이 중 총장골동맥림프절 침범이 있으면서 대동맥주위림프절 침범은 없었던 5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의 FIGO 병기는 IB, IIA, IIB가 각각 22명, 21명, 11명이었다. 이 중 10명은 전골반과 대동맥주위림프절을 포함하는 확장조사야로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모두 항암화학치료를 병용하였으며, 나머지 44명은 전골반 만을 포함하는 표준조사야로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이 중 16명이 항암화학치료를 병용하였다. 확장조사군과 표준조사군의 추적관찰기간은 각각 21∼58개월(중간값, 47개월)과 6∼201개월(중간값, 58개월)이었다. 결 과: 전체 환자의 4년 생존율, 4년 무병생존율, 4년 무전이생존율은 각각 70.0%, 61.1%, 71.7%였다. 단변량 분석 시 절제연 침범(p<0.001), 림프관내 종양 침범(p=0.041)이 있는 경우 유의하게 생존율이 낮았고, 양측 림프절 침범(p=0.001), 5개 이상의 림프절 전이(p=0.006)가 있는 경우 유의하게 낮은 무병생존율을 보여주었다. 낮은 무전이생존율과 관련 있는 인자는 양측 림프절 침범(p=0.009), 5개 이상의 림프절 전이(p=0.003), 자궁경부 전층 침범(p=0.013), 절제연 침범(p=0.014), 림프관내 종양 침범(p=0.041)이었다. 확장조사군과 표준조사군의 4년 생존율은 90.0%와 67.2% (p=0291), 4년 무병생존율은 70.0%와 59.0% (p=0.568), 4년 무전이생존율은 90.0%와 67.5% (p=0.196), 4년 대동맥주위림프절 전이율은 0%와 14.3% (p=0.24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등급 이상의 중등도 급성합병증은 확장조사군 10명 중 4명(40%; 조혈계 2명, 위장관계 2명)에서 발생하였고, 표준조사군 44명 중에서는 11명(25%; 조혈계 2명, 위장관계 6명, 비뇨생식계 3명)에서 발생하였다. 결 론: 자궁경부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총장골동맥림프절 침범이 있는 경우 예방적 대동맥주위림프절 방사선조사의 생존율에 대한 통계적 유용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확장조사야로 치료받은 환자수가 적고 추적관찰기관이 짧았던 점을 고려하면 추가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trospectively assess the advantages and side effects of prophylactic Paraaortic irradiation in cervical cancer patients with common iliac nodal involvement, the results for survival, patterns of failure, and treatment-related toxici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85 to October 2004, 909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 received postoperative radiotherapy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mong them, 54 patients with positive common iliac nodes on pathology and negative Paraaortic node were included in the study. In addition, 44 patients received standard pelvic irradiation delivered 50.4 Gy per 28 fractions (standard irradiation group), and chemotherapy was combined in 16 of them. The other 10 patients received pelvic irradiation at a dose of 50.4 Gy per 28 fractions in addition to Paraaortic irradiation at 45 Gy per 25 fractions (extended irradiation group). In addition, all of them received chemotherapy in combination with radiation. Follow-up times for pelvic and Paraaortic irradiation ranged from 6 to 201 months (median follow-up time, 58 months) and 21 to 58 months (median follow-up time, 47 months), respectively. Results: The 4-year overall survival, disease free survival, and distant metastasis free survival in the standard irradiation group and extended irradiation group were 67.2% vs. 90.0% (p=0.291), 59.0% vs. 70.0% (p=0.568) and 67.5% vs. 90.0% (p=0.196),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site of first failure for the standard irradiation group was the paraaortic lymph node, while no paraaortic failure was observed in the extended irradiation group. Relatively, hematologic toxicity grade 3 or greater was common in the extended irradiation group (2/10 extended vs. 2/44 standard), while gastrointestinal toxicity of grade 3 or greater was lower (2/10 extended vs. 6/44 standard), and urologic toxicity of grade 3 or greater was observed in the standard irradition group only (0/10 vs. 3/44). Conclusion: Concurrent chemotherapy and prophylactic Paraaortic irradiation in patients with common iliac nodal involvement showed slightly improved clinical outcomes aside from increased hematologic toxicity, which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nsidering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patients and short follow-up times,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obtain more conclusive outcomes.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안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TV Margins for Prostate Treatments with an Endorectal Balloon
- 방사선에 의한 장점막 손상에 대한 5-Androstenediol의 보호효과
- 조기유방암환자의 이차원치료계획과 삼차원치료계획의 방사선조사범위의 차이
- 방사선종양학 분야의 연구 네트워크 특성 분석
-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골반암에서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고식적 재치료
- Combination Effect of Nimotuzumab with Radiation in Colorectal Cancer Cells
- 사차원전산화단층촬영과 호흡연동 직각 Kilovolt 준비 영상을 이용한 간 종양의 움직임 분석
- 자궁경부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총장골동맥림프절 침범 시 동시항암화학치료와 예방적 대동맥주위림프절 방사선조사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두피의 포도주색 모반에서 발생한 화농성 육아종: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 The effects of low-dose 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mild-to-moderate Alzheimer’s dementia: an interim analysis of a pilot study
- 무릎관절의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육안적 활액막 전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제43권 제3호 목차
- Prognostic factors and risk stratification for survival in oligometastatic colorectal cancer treated with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 Optimizing palliative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with skin involvement: technical and methodologic considerati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