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erence in the Set-up Margin between 2D Conventional and 3D CT Based Planning in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조선미(Sunmi Jo) 전미선(Mison Chun) 김미화(Mi-Hwa Kim) 오영택(Young-Taek Oh) Seunghee Kang(강승희) 노오규(O Kyu Noh)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28권 제3호, 177~18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유방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치료계획에 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모의치료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는 환자 개개인의 해부학적 특징에 기반하여 종양 표적과 정상 조직을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유방 크기가 작은 한국인 유방암 환자에서 적용하는 방사선치료계획 방법에 따라 치료용적 및 치료범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1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조기유방암으로 유방보존술을 시행 받은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통상적인 접면조사의 이차원치료 계획과 전산화단층촬영을 기반으로 한 삼차원치료계획을 시행하였다. 이차원치료계획에서 방사선조사영역의 경계는 유방실질을 촉지하여 결정하였고 위쪽으로는 쇄골의 바로 아래, 내측은 몸의 정중선, 외측은 중심 액와선 그리고 아래쪽은 유방밑주름에서 2 cm 아래에 표시하였다. 삼차원치료계획에서 임상표적체적은 모든 유선 조직을 포함하였고 계획용 표적체적은 임상표적체적에서 피부 쪽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1 cm의 여유를 두어 결정하였다. 이차원과 삼차원치료계획 간의 조사영역의 경계 차이 및 동등조사영역의 차이를 확인하고 신체질량지수, 폐경 여부 및 유방크기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선량분포로 지정한 유방조사량과 삼차원 선량분포에 기반하여 측정된 조사된 폐용적과 심장용적을 평가하였다. 결 과: 2명의 환자를 제외하고 계획용표적체적(PTV)은 삼차원치료계획이 이차원치료계획보다 모든 방향에서 표시한 방사선조사영역을 감소시켰고 위쪽 경계에서 그 차이값이 가장 컸다. 동등조사영역크기는 한 명을 제외하고 삼차원치료계획에서 이차원치료계획에서보다 작았으며(평균 0.9 cm), 신체질량지수, 폐경 여부 및 유방크기(브래지어 사이즈)와의 관련성은 보이지 않았다. 조사된 폐용적은 삼차원치료계획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장용적 또한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 론: 통상적인 치료계획과 비교하여 전산화단층촬영을 기반으로 한 삼차원치료계획이 작은 유방을 가진 환자에서 방사선조사영역 및 손상위험장기의 조사량을 줄이면서 수술 후 변화를 포함하여 더 정확한 종양치료가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앞으로 임상표적체적의 정의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및 일반적인 합의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Simulation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is now widely available for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for breast cancer. It is an important tool to help define the tumor target and normal tissue based on anatomical features of an individual patient. In Korea, most patients have small sized breas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margin of treatment field between conventional two-dimensional (2D) planning and CT based three-dimensional (3D) planning in patients with small breast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ive consecutive patients with early breast cancer undergoing breast conservation therapy were selected. All patients underwent 3D CT based planning with a conventional breast tangential field design. In 2D planning, the treatment field margins were determined by palpation of the breast parenchyma (In general, the superior: base of the clavicle, medial: midline, lateral: mid - axillary line, and inferior margin: 2 m below the inframammary fold). In 3D planning, the clinical target volume (CTV) ought to comprise all glandular breast tissue, and the PTV was obtained by adding a 3D margin of 1 cm around the CTV except in the skin direction. The difference in the treatment field margin and equivalent field size between 2D and 3D planning wer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radiation field margins and factors such as body mass index, menopause status, and bra size was determined. Lung volume and heart volume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prescribed breast radiation dose and 3D dose distribution. Results: The margins of the treatment field were smaller in the 3D planning except for two patients. The superior margin was especially variable (average, 2.5 cm; range, -2.5 to 4.5 cm; SD, 1.85). The margin of these targets did not vary equally across BMI class, menopause status, or bra size. The average irradiated lung volume was significantly lower for 3D planning. The average irradiated heart volume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use of 3D CT based planning reduced the radiation field in early breast cancer patients with small breasts in relation to conventional planning. Though a coherent definition of the breast is needed, CT-based planning generated the better plan in terms of reducing the irradiation volume of normal tissue. Moreover it was possible that 3D CT based planning showed better CTV coverage including postoperative change.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안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TV Margins for Prostate Treatments with an Endorectal Balloon
- 방사선에 의한 장점막 손상에 대한 5-Androstenediol의 보호효과
- 조기유방암환자의 이차원치료계획과 삼차원치료계획의 방사선조사범위의 차이
- 방사선종양학 분야의 연구 네트워크 특성 분석
- 방사선치료 후 재발한 골반암에서 토모테라피를 이용한 고식적 재치료
- Combination Effect of Nimotuzumab with Radiation in Colorectal Cancer Cells
- 사차원전산화단층촬영과 호흡연동 직각 Kilovolt 준비 영상을 이용한 간 종양의 움직임 분석
- 자궁경부암의 근치적 절제술 후 총장골동맥림프절 침범 시 동시항암화학치료와 예방적 대동맥주위림프절 방사선조사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두피의 포도주색 모반에서 발생한 화농성 육아종: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 The effects of low-dose radi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mild-to-moderate Alzheimer’s dementia: an interim analysis of a pilot study
- 방사선치료 중인 암 환자의 심리와 삶의 질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제43권 제3호 목차
- Prognostic factors and risk stratification for survival in oligometastatic colorectal cancer treated with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 Optimizing palliative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with skin involvement: technical and methodologic considerati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