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표현언어장애아동의 학습잠재력(ZPD)에 기초한 역동적평가의 치료예측 타당도 연구
이용수 540
- 영문명
- The Predictive Validity of Dynamic Assessment Using ZPD with Expressive Language Delay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박정은(Jung Eun Park) 김영태(Young Tae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8권 제1호, 100~116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 단어 발화 수준의 표현언어장애 아동 24명을 대상으로 학습잠재력의 치료예측 타당도를 연구하였다. 연구는 (1) 학습 전 정적평가, (2) 학습 전 ZPD에 기반한 역동적평가, (3) 단기학습(3주), (4) 학습 후 정적평가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런 일련의 절차를 거쳐, ZPD와 실제 학습향상도(학습 후 정적평가-학습 전 정적평가)간의 상관계수, ZPD가 높은 집단과 ZPD가 낮은 집단의 실제 학습향상도의 차이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ZPD와 실제 학습향상도 간에는 유의미하게 높은 상관을 보였고, ZPD가 높은 집단과 ZPD가 낮은 집단 간에는 실제향상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validity of dynamic assessment using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Dynamic assessment examines how children respond to cues presented hierarchically from least to most supportive. The hypothesis is that children’s responsiveness reflects readiness to learn a new behavior; that is, responsiveness to the least supportive cuing indicates a readiness for immediate learning(Vygotsky, 1978). A dynamic assessment procedure was employed with twenty four children with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impairment to determine their readiness for producing two-word utterance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Spearman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Static assessment is designed to hold contextual support to a minimum, as occurs in standardized testing, so that a child’s habitual performance can be identified. In contrast, dynamic assessment focuses on potential level of performance revealing a child’s immediate ability to change or advance when provided with guided instruction from a more experienced person.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pre-treatment ZPD and the improvement of actual development (difference between two static assessments(post-treatment,pre-treatment)) were very high. (2) The difference of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high ZPD group and low ZPD group was not significant. The improvement of actual development of high ZPD group was better than low ZPD group.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predictive validity of ZPD was suppor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아의 어휘 발달
- 교실중심 언어중재를 위한 교사와 언어치료사의 협력적 역할 수행
- 의사소통 회복전략이 고도난청 아동의 문장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내적수정가설(Covert Repair Hypothesis) 검증을 위한 기초 연구
- 아동의 구문발달에 따른 용언의 발달
- Psychometrically Equivalent Korean Bisyllabic Words Spoken by Male and Female Talker
- 말더듬 출현율 조사방법에 대한 기초연구
-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사회-의사소통 능력 증진
- 관계절 두어(head noun)의 정보와 조사의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문장의 재분석과정
- Hyperlexia 아동의 글자읽기 기술과 언어·인지적 특성
- 표현언어장애아동의 학습잠재력(ZPD)에 기초한 역동적평가의 치료예측 타당도 연구
-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낱말산출 능력
- 말실행증 환자(Apraxia of Speech)의 AMR 수행 특성
- 지시문을 이용한 불쾌역치(uncomfortable loudness levels)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 성차와 교사개입에 따른 만 2세 영아의 상상놀이 특성에 관한 연구
-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위한 연구방법론 고찰
- Psychometrically Equivalent Korean Monosyllabic Speech Discrimination Materials Spoken by Male and Female Talke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