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Use of Gestures in One-Word Level Children with Down Syndrome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선해(Sun-Hai Kim) 고도흥(Do-Heung Ko)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7권 제3호, 95~10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1.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운증후군아동의 제스츄어 사용을 살펴보기 위해 구조화된 상황에서 제스츄어 사용빈도, 제스츄어 유형에 따른 사용비율을 표현언어를 일치시킨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제스츄어 유형은 관습적 제스츄어, 원거리 제스츄어, 상징적 제스츄어, 제스츄어 조합, 장난하기, 말하기(말이 동반된 제스츄어), 기타로 분류하였다. 제스츄어 사용빈도는 다운증후군아동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제스츄어 유형에 따른 사용비율은 대조군이 90.7%로 거의 관습적 제스츄어만을 사용하는 반면, 다운증후군아동의 관습적 제스츄어의 사용이 64.2%로 상대적으로 낮고 관습적 제스츄어 이외에 발달된 수준의 다양한 제스츄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징적 제스츄어, 제스츄어 조합, 장난하기는 다운증후군아동에게만 나타났다. 결과는 다운증후군아동의 언어발달 특성으로 구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제스츄어 사용능력을 설명하는 근거가 되고, 이를 반영한 평가와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gestures i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using CSBS by Wetherby & Prizant (1993). Ten children with Down Syndrom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en children with normal development, as a control group. Frequency, rate, and type of gestures used were code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test in SPSS (version 10).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Normal children used 2.0 gestures per minute and children with Down Syndrome used 3.5 gestures per minute. Thus, children with Down Syndrome used a high frequency in average number of gestures than children with normal develop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total number of gestures (p< .05). (2) In the rate of gesturing, children with normal development made the most use of conventional gestures(90.7%). On the other hand, children with Down Syndrome used a much lower rate of conventional gestures(64.2%). It revealed that children with Down Syndrome used various high-level and richer-repertoire gestures than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It was shown that symbolic gestures and combined gestures and joking were used only by children with Down Syndrome. In conclusion, predominant use of gestures by the children with Down Syndrome explains that these children have difficulty in language production. However, this study does not show a relation between gestures and langua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각자료와 설명자막의 활용이 청각장애학생의 과학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 언어발달 초기단계에 있는 자폐성 장애아동의 대화방법에 관한 연구
- 성대결절 아동의 호흡양상에 관한 연구
- 장애아동을 위한 관련서비스 전달체계의 이론적 기초 정립
- 청각장애학생의 스트레스, 자아개념, 정신건강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이 자폐학생의 자해 및 공격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통합경험이 있는 장애아동 부모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인분석
- 커플러이득(Coupler Gain)과 실이삽입이득(REIG)의 비교연구
- 후천성 한글 난독증의 어휘처리 양상
- 한낱말 단계 다운증후군아동의 제스츄어 사용
- Tone Burst 자극음을 이용한 골전도 청성뇌간유발반응(ABR)의 임상적 유용성 연구
- 한국 표준 그림 조음검사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A Narrative Review of Research Syntheses on Graphic Organizers in Facilitating Reading Comprehension in Content Areas
- 이해점검 읽기 지도와 어휘이해 읽기 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 4, 5세 청각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의사소통기능 비교
- 브로카실어증 환자들의 동사이해결함의 범주특정적 특색
- 실어증 환자에서 보이는 단어규칙성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사무량심에 기반한 유아기 부모 양육 경험의 해석현상학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