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Historical Study on Compound Particles and Compound Auxiliary Verbs - Focusing on tobakari(ni) , n(nu․nai)bakari , bakarini -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안지영(An, Ji-Young, 安志英)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日本語文學 第50輯, 69~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origin of the compound particles tobakari(ni) and n(nu․nai) bakari
and bakarini and follow the integration of the compound particles in language over time. The first known appearance of tobakari(ni) in Japanese literature was in the year 951 Yamatomonogatari. Nowadays it means “as if it is so”, but until Meiji era, it meant “Only that”. According to my research, from the Meiji period, the usage of toiwanbakari gradually increased. As result of this influence, the meaning of tobakari (ni) was changed for the similarity. On the other hand, the first known appearance of n(nu․nai)bakari in Japanese literature was in the year 1672 Chikusaibanasi. It is often used with the verb “iu” like “iwanu(iwan)bakari”. And from Meiji period, It's usage increased rapidly Relative Clauses such as n(nu․nai) bakarino . bakarini was derived the Heian period's form of sibakarini . But the first known appearance of tabakarini in Japanese literature was in the 18th century. bakarini was often found in magazine articles and novels. As such, bakarini was used exclusively in written language.
목차
1.はじめに
2. 各資料における複合辞の様相
3.おわりに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複合動詞『〜出す』의 意味分析
- 韓国人の上級レベル日本語学習者における タテイタの誤用に関する研究
- 일본 하기 조선도공의 후예에 관한 연구
- 日本語教育におけるていく․くるについて
- 형식명사 こと․の의 一考察
- 芥川龍之介の大導寺信輔の半生考
- 전시 하 국책연극과 ‘프로파간다'
- ヤタガラスのルーツに関する一考察
- 群集の中を求めて歩く
- 江戸初·中期の伊勢物語の受容
- 日本語動詞의 受動成立과 相과의 相關關係分析
-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癡人의 사랑 論
- (し)そうだの意味について
- 미국계 선교사와 일본 근대 지식인의 긴장관계
- 日本体育授業における形成的評価研究
- 複合辞に関する通時的研究
- 일본어 조건표현 と․ば․たら․なら의 문법 제약에 관한 연구
- 日本語形容詞에 대한 一考察
- 受身文の意味的多様性について
- 教育勅語に関する一考察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일본어와문학분야 NEW
- 한일 온라인교류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한일 대학생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생성형 AI 기반 일본어 한자어 수업 적용 사례 연구 - 강의식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일본어 비전공자의 일본취업 준비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