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alligraphy Aesthetic Theory of Wang-duo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현정이(Hyun, Jung-Y)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1호, 295~32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중국서예사에서 帖學이 衰退해지던 시기에 帖學의 復興을 불러일으키고, 훗날 碑帖之爭의 先聖이 되었던 王鐸의 書藝美學思想을 考察한 것이다. 王鐸은 極中庸사상을 바탕으로 서예를 통해 개성의 解放을 주장하고, 이른바 反中和的‘異端’의 미학사상을 기초로 左右傾斜의 奇格美, 巨幅雄强의 膽大美, 八極 之勢의 激情美를 실현하였다. 王鐸의 서예 연원은 二王․ 米芾을 계승함으로써 그의 서예미학사상은 중국전통 미학에 기초를 두고 있다. 極中庸을 주장하면서도 中庸을 반대한다고 하지 않은 王鐸은 狠․ 膽․ 怒․ 氣․ 力을 찬미하였으며, 膽大의 美도 실현하게 되었다. 또한 그의 八極之勢의 激情美는 역대에 있어본 적이 없는 創新性이 돋보이는 章法이며, 이 밖에 一筆書, 漲墨法역시 王鐸의 서예를 특징짓는 요소가 되고 있다. 王鐸의 이러한 서예미학의 創新性은 中和美를 중시하는 전통미학사상에 기초하면서도 참신하고 독자적인 개척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been made on the calligraphic aesthetic idea of Wang-duo, who raise study of calligraphy grounded on notebook-written letters in the age when study of calligraphy grounded on notebook written letters was declining and became a forerunner of academic argument about study based on stone- monument engraved letters and later notebook-written letters in Chinese calligraphic history. Wang-duo advocated the liberty of individuality based on the idea of immoderate and realized the beauty of eccentricity for leftright-slant beauty of boldness for granduer expressed in wide canvas and beauty of passion for power of universe based on the aesthetic idea of 'heresy' against neutralization. Wang Tack's calligraphy succeeded that of Yee Wangㆍ Mi Bul, so that his calligraphic aesthetic idea was based on Chinese traditional aesthetics. Not saying that he was against the middle-of-the-road while advocating immoderate, he praised the beauty of fightㆍbravenessㆍangerㆍ energyㆍpower and then realized also the beauty of Damdae. Furthermore, the beauty of Gyeokjeong for Palgeukjise by him was a rules of sentence with remarkable creativity that had never been shown before. In addition, his writing several letters in one touchㆍ calligraphic of blotting techniques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his calligraphy. Such creativity of his calligraphic aesthetics can be assessed to open a new and independent world based on the traditional aesthetic idea that values neutralization.
목차
Ⅰ. 序論
Ⅱ. 王鐸書藝의 美學的特色
III .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