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Land Acquisition System of Foreigner and Foreign Land Act
- 발행기관
- 한국지적학회
- 저자명
- 이지석(Lee, Ji Seok) 김행종(Kim, Haeng J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26권 제1호, 43~5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의 토지취득 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법률인 외국인토지법과 외국인투자촉진법을 중심으로 주요 쟁점별로 분석하여 외국인 토지취득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외국인토지법’에서 상호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나 이미 헌법에서 내외국인 평등주의를 취하고 있으므로, 외국인토지법의 상호주의는 WTO 체제하의 최혜국대우원칙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외국인토지법’에서는 외국인이 국내에서 토지취득시 원칙적으로 신고주의를 취하고 예외적으로 허가주의를 채택하고 있으나, 이미 정보화의 진전으로 외국인의 토지보유현황이 수시로 파악되고 있어 신고주의를 취할법적 의미가 약해졌다. 셋째, ‘외국인투자촉진법’에서는 외국인토지 이용권을 최대 50년까지 그 범위를확대할 수 있도록 개정하였으나, 실행단계에서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수정․보완되어야 한다. 넷째, 외국인투자는 순기능과 역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므로, 순기능은 장려하고 역기능에 대해서는 적절한 투기방지책 등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some implications of the land acquisition system of foreigner in the 'Foreign Land Act' and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1) The Foreign Land Act guarantees land-property right of foreigner in accordance of reciprocity, however, Korean Constitution guarantees the property right of foreigner as well as nation. Therefore, the principle of reciprocity of the Act needs to convert into the most-favored-nation treatment policy of the WTO. 2) The Foreign Land Act conversed its permit of foreign land-holding into reporting system, with some exceptions to the military preservation zone and so on. But the legal meaning of reporting system became weak because the land holding status of foreigners would already grasp in the
computer program system. 3) The Foreign Investment Promotion Act guarnatees the foreigner land right to operate by the year 50, so we need try to fit for the Korean business environment 4) There are the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in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together, we will to promote of the positive function and to manage of the negative.
목차
1. 서 론
2. 외국인의 국내토지 취득현황 및 토지취득제도
3. 우리나라의 외국인토지 관련법 분석
4. 외국인 토지취득제도에 대한 쟁점별 시사점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건축물대장 등록정보의 논리오류 유형 연구
- 한국형 지적정보 표준체계 수립 연구
- e-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부동산공시제도의 통합에 관한 연구
- 국가 CORS와 표석기준점의 통합활용 전략연구
- 입체지적 도입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 장기전세주택이 주택가격에 미친 영향
- U-City 및 내비게이션 정보서비스를 위한 지적연계정보 취득방안
- 거버넌스 관점의 지적행정 전망
- 골프장 체육용지 지목변경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부동산업과 도시재생사업의 연계를 통한 사회적 기업 모형
- AHP의사결정 기법을 이용한 국토공간정보 조사의 우선순위와 중요도 분석 연구
- 외국인의 토지취득 제도와 관련법에 관한 연구
- 지적학술용어의 체계화 방향에 관한 연구
- 대한지적공사의 사회적책임활동, 사회적기업과의 연계 가능성에 관한 시론
- 지적재조사사업에 따른 청산방안에 관한 연구
- 토지조사 초 행정구역 변경과 월경지․두입지 정리에 관한 고찰
- 淸․日間島協約의 不當性과 間島領有權問題의 解決方案(中)
- 주택수익률의 구조변화와 초과수익률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지적공부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 국가공간정보 관련 법의 동향과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Sustainable Rural Transformation: Leveraging Resilience and Inclusive Growth Through the Lens of the Saemaul Undong Model
- Identifying Mangrove Forest as a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Sustainable Ecotourism: A study in Sayung Subdistrict, Demak Regency, Central Java, Indonesia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rrigation Scheme Participation and SRI Adoption Among Smallholder Farmers: A Case Study of Zomba District, Malawi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