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행 가능한 편마비 환자에서 편측 및 건측 하지 발목 관절의 인대와 힘줄의 초음파 비교
이용수 65
- 영문명
- The Comparison of Sonographic Features of Ankle Ligament and Tendon in Affected Side With Non-Affected Side Ambulatory of Hemiplegic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박지웅(Ji-woong Park) 안재기(Jae-ki An) 박용범(Yong-bum Park) 배원식(Won-sik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7권 제2호, 60~66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chronic ambulatory hemiplegic patients, structural changes might be developed at both ankles possibly due to unequal and repetitive weight bearing on tendons and ligaments. We examined ankles by sonography to find out structural changes of tendons and ligaments of both ankles in ambulatory hemiplegic patients. Nineteen ambulatory hemiplegic patients over 1 year were included as study subjects. All subjects had no previous trauma or disease history in their ankle joints and they were able to walk independently or with supervision but had spastic ankles with equinovarus tendency. We examined both ankle joints by sonography to see joint effusion and measure width, thickness, and area of tendons of the tibialis anterior, tibialis posterior, and Achilles, and also ligaments of the anterior talofibular and calcaneofibular. We compared sonographic features of the hemi-side ankle with the sound-side ank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emi-side and sound-side ankles in almost all measured parameters of tendons and ligaments. However, the width of the hemi-side tibialis posterior tendon (7.24±1.52 mm) was narrower than the sound-side tendon(8.61±1.37 mm). With the amount of active joint motion and weight bearing possibly preventing ligament and tendon atrophy even though marked weakness, spasticity occurred during the chronic hemiplegic phase.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IV. 고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뇌졸중 환자의 비마비측 슬관절 등척성 수축시 각도와 운동 방향이 마비측 대퇴사두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편측 견부 통증 환자의 안정시 견갑골 자세와 통증수준과의 상관성 연구
- 뇌졸중 환자의 기능수준에 따른 FIM 신체적 기능 항목의 라쉬분석
-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손 조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 물리치료환자와 치료사간의 물리치료서비스품질에 대한 지각 비교
- 에비안스 함베르크 스트레칭 방법이 고관절의 능동 가동범위와 우모각에 미치는 영향
- 신경가동기법, 정적신장기법, 유지-이완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슬괵근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익상견갑의 평가를 위한 "Scapulometer" 의 신뢰도 연구
- 보행 가능한 편마비 환자에서 편측 및 건측 하지 발목 관절의 인대와 힘줄의 초음파 비교
-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 수준이 균형과 보행 및 기능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인지행동치료가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조현병 환자에게 적용한 그룹인지재활프로그램이 인지기능과 작업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 with Reverse Plank Exercise on Neck Alignment and Muscle Function in University Studen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Comparison of sternocleidomastoid (SCM) muscle thickness in college students with forward and normal posture: an ultrasound cross-sectional study
- The effect of shoulder muscle exercise therapy on functional level, grip strength and pain in patients with lateral elbow tendinopath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