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Between Patients and Physical Therapist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방상분(Sang-bun Bang) 이용석(Yong-seo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7권 제2호, 75~8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s study purposed to analyz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between physiotherapy patients and physical therapist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maintaining high service quality that meets patients' expectation in each service area For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physiotherapy patients and physical therapists in Jeju from the 6 to 30 of January, 2010. In the survey, we received 133 questionnaires from patients and 125 from physical therapists, and used them in analysi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to measure service quality was prepared by the researcher through adapting and supplementing the SERVQUAL model developed by Parasuraman et al (1991). For our physiotherapy environment, and it consisted of a total of 23 questions in five areas, namely,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Patient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was high in order of reliability, assurance, empathy, responsiveness, and tangibility. In four areas with exception of reliability, quality perceived by patients was lower than that perceived by physical therapists, and particularly in responsiveness(t=2.82, p=.00) and empathy(t=2.02, p=.04), the difference between patients and physical therapis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to reduce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between patients and physical therapist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nhance physical therapists'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nd to prepare measures for improving service equality so that services would be provided through respectful communication with maintaining the dignity of patients, rather than focusing on disease.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결과
IV. 고찰
V.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동작관찰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손 조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의 기능수준에 따른 FIM 신체적 기능 항목의 라쉬분석
- 보행 가능한 편마비 환자에서 편측 및 건측 하지 발목 관절의 인대와 힘줄의 초음파 비교
- 익상견갑의 평가를 위한 "Scapulometer" 의 신뢰도 연구
- 뇌졸중 환자의 체간 조절 수준이 균형과 보행 및 기능적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편측 견부 통증 환자의 안정시 견갑골 자세와 통증수준과의 상관성 연구
- 뇌졸중 환자의 비마비측 슬관절 등척성 수축시 각도와 운동 방향이 마비측 대퇴사두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물리치료환자와 치료사간의 물리치료서비스품질에 대한 지각 비교
- 에비안스 함베르크 스트레칭 방법이 고관절의 능동 가동범위와 우모각에 미치는 영향
- 신경가동기법, 정적신장기법, 유지-이완기법이 뇌졸중 환자의 슬괵근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치매안심마을의 향후 연구 방향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