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DM2, p53 and pRb Expression Prior to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in Esophageal Carcinoma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윤미선(Mee Sun Yoon) 남택근(Taek Keun Nam) 이재혁(Jae Hyuk Lee) 조상희(Sang Hee Cho) 송주영(Ju Young Song) 안성자(Sung Ja Ahn) 정익주(Ik Joo Chung) 정웅기(Woong Ki Chung) 나병식(Byung Sik Nah)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25권 제4호, 193~20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식도암에서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치료 전 MDM2, p53, pRb 발현양상이 치료반응 및 생존율 등 치료결과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AJCC 병기 I~IVa로 근치적 목적의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을 받은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일일 1.8~2.0 Gy씩 원발병소에 중앙값 54 Gy를 시행하였고 항암화학요법은 CDDP/5-FU를 4주 간격으로 4회 시행하고 첫 2회는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시행하였다. MDM2, p53, pRb 발현의 검출은 치료 전 내시경하 조직생검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방법을 이용하였다. 단백발현 양성종양세포가 50% 이상인 경우를 고발현군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의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26개월이었다. MDM2, p53, pRb 고발현군은 각각 19.6%, 27.5%, 66.7% 이었다. 그러나 이들의 발현 정도와 치료반응, 종양특이 생존율, 전체 생존율 등 모두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연령(65세 이하 vs. 초과), 종양의 위치(상부, 중앙부, 하부), 종양의 길이(5 cm 이하 vs. 초과), 병기(I∼II vs. III~IVa), MDM2 (저발현 vs. 고발현), p53 (저발현 vs. 고발현), pRb (저발현 vs. 고발현), 병리학적 완전관해여부, 임상적 완전관해여부 등 9개 요인들을 대상으로 종양특성 생존율에 대한 다변량 분석에서 병리학적 완전관해여부(RR12.100, p<0.001)와 병기(RR 3.300, p=0.028) 만이 유의한 인자들이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MDM2, p53, pRb의 치료 전 발현양상과 치료결과와 의미있는 연관성은 발견할 수 없었다. 향후상기 발현인자들을 포함하여 잠재적인 예후인자로서 새로운 다른 발현인자들을 발굴하고 보다 많은 증례 수를 대상으로 추적기간을 보강하여 이들을 재평가하는 연구가 요망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pretreatment expression patterns of MDM2, p53, and pRb proteins to
determine if the expression patterns could predict the outcome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id in the decisions for the selection of treatment modalities.
Materials and Methods: Fifty-one patients that were treated with definitive chemoradiotherapy for stage I∼IVa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Radiotherapy was administered with daily 1.8
∼2 Gy fractions up to a median dose of 54 Gy for primary tumors, and with four cycles of cisplatin/5-
fluorouracil chemotherapy that was administered every 4 weeks, the first two cycles of which were administered
concurrently with radiotherapy. Expression of MDM2, p53, and pRb was investigated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using pretreatment biopsy specimens. Results: MDM2, p53, and pRb were detected with high immunoreactivity in 19.6%, 27.5%, and 66.7%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of these factors and clinical outcome. By the use of multivariate analysis with nine covariates-age, tumor location, tumor length, stage, pathological response, clinical response, MDM2 expression, p53 expression, and pRb expression, only pathological response and stage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cause-specific survival. Conclusion: Expression of MDM2, p53, and pRb was not found to be clinically significant for predicting outcomes after CCRT in this study. Further studies with a larger patient population and longer follow-up periods are needed to re-evaluate the expression pattern and to identify new predictors for CCRT response.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안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iffus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the Knee
- 원격 품질 보증 시스템을 사용한 세기변조 방사선치료의 예비 모니터링 결과
- 2기(T3 또는 N1) 췌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및 고찰
- Distortion of the Dose Profile in a Three-dimensional Moving Phantom to Simulate Tumor Motion during Image-guided Radiosurgery
- 데스모이드 종양에 대한 조기 방사선치료의 필요성
- 인간 유방암 세포 이식마우스에서 EGFR/HER2 복합 Tyrosine Kinase 억제제인 GW572016에 의한 방사선증진효과
- 마우스에서 Cisplatin과 방사선조사로 유발된 구내염에 대한 재조합 표피성장인자의 효과
- 식도암에서 MDM2, p53, pRb 발현과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의 결과
- Internal Mammary Lymph Node Irradiation after Breast Conservation Surgery
- 후두암 및 폐암 세포주에서 Flavopiridol이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에 미치는 영향
- 원발병소 불명암의 경부림프절 전이에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 Prophylactic Radiotherapy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Heterotopic Ossification after Surgical Intervention of the Elbow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두피의 포도주색 모반에서 발생한 화농성 육아종: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 무릎관절의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육안적 활액막 전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 Impact of adaptive radiotherapy on survival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Dosimetric analysis of different whole brain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methods: three types of 3-dimensional versus hippocampal avoidant
- To irradiate or to wait: practical considerations when planning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kidney tumors using magnetic resonance-guided online adaptive radiotherapy
- Definitive radiotherapy for unresectable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s it time for an updat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