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Outcom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Stage II Pancreatic Cancer (T3 or N1 Disease)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저자명
- 김상원(Sang Won Kim) 전미선(Misun Chun) 김명욱(Myung Wook Kim) 김욱환(Wook-Hwan Kim) 강석윤(Seok Yun Kang) 강승희(Seung Hee Kang) 오영택(Young Taek Oh) 이선영(Sunyoung Lee) 양주노(Juno Yang)
- 간행물 정보
-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25권 제4호, 213~21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근치적 절제술을 받고 AJCC 병기 2기(T3 또는 N1)로 진단된 췌장암 환자들 중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이들을 대상으로 국소 제어율 및 생존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수술 후 보조적 요법으로 방사선치료 단독 내지는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28명의 환자들의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환자들에게서 병리 소견상 췌장 주변 조직으로의 침윤이 있거나 췌장 주변 또는 후복강 내 대동맥 주변 임파절 전이가 확인되었다. 방사선치료는 수술 전영상학적인 자료에서 침범된 종양의 위치 및 수술 변연 부위를 중심으로 40∼57.6 Gy (중앙값 50 Gy)를 조사하였으며 병리 소견상 주변 임파절 전이가 확인된 경우엔 제 3 요추부위까지의 대동맥 주변 임파절 부위도 조사야에 포함시켰다. 동시 항암화학요법은 10명의 환자들에게서 병용되었다. 결 과: 최초의 실패 양상이 국소 재발이었던 환자는 13명(46%)였으며 이들 중에서 원격 전이가 같이 동반된 환자는 5명이었다. 호발 부위는 복강축(4명)과 대동맥 주변 임파절 부위였다. 또한 원격 전이가 최초의 실패 양상으로 나타난 환자는 국소재발이 동반된 환자들을 포함하여 12명이었다. 원격전이가 가장 흔히 나타난 곳은 간(10명)이었으며 복강전이, 폐전이 순이었다. 임파절 전이가 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에 비해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았다(57.1%). 수술 변연 부위에 종양이 남아있는 환자들은 없는 환자들보다 국소 재발의 가능성이 높았다(57.1%). 전체 환자들의 무병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6개월이었으며 1년 및 2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27.4%와 8.2%였다. 전체 생존기간의 중앙값은 11개월이었고 2년, 3년 생존율은 31.6%, 15.8%였다. 결 론: 2기 췌장암 환자들은 국소 재발 및 원격 전이의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국소 제어율 및 전체 생존율의 향상을 위해서 수술 후 효과적인 방사선치료의 적극적인 시행 및 이후의 보조적인 전신 항암화학요법을 권고하여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o analyze retrospectively the outcom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with or without concurrent
chemotherapy for curatively resected stage II pancreatic cancer with T3 or N1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5, twenty-eight patients completed adjuvant radiation therapy at Ajou University Hospital. The patients had either pathologic T3 stage or N1 stage. The radiation target volume encompassed the initial tumor bed identified preoperatively, resection margin area and celiac nodal area. In the case of N1 patients, the radiation field extended to the lower margin of the L3 vertebra for covering both para-aortic lymph nodes bearing area. The median total radiation dose was 50 Gy. Ten patients received concurrent chemotherapy. Results: Thirteen patients (46%) showed loco-regional recurrences. The celiac axis nodal area was the most frequent site (4 patients). Five patients showed both loco-regional recurrence and a distant metastasis. Patients with positive lymph nodes had a relatively high probability of a distant metastasis (57.1%). Patients that had a positive resection margin showed a relatively high local failure rate (57.1%). The median disease-free survival period of all patients was 6 months and the 1- and 2-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s were 27.4% and 8.2%, respectively. The median overall survival period was 9 months. The 2- and 3-year overall survival rates were 31.6% and 15.8%, respectively. Conclusion: The pancreatic cancer patients with stage II had a high risk of local failure and a high risk of a distant metastasis. We suggest the concurrent use of an effective radiation-sensitizing chemotherapeutic drug and adjuvant chemotherapy after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stage II pancreatic cancer.
목차
서 론
대상 및 방법
결 과
고안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iffuse Pigmented Villonodular Synovitis of the Knee
- 원격 품질 보증 시스템을 사용한 세기변조 방사선치료의 예비 모니터링 결과
- 2기(T3 또는 N1) 췌장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및 고찰
- Distortion of the Dose Profile in a Three-dimensional Moving Phantom to Simulate Tumor Motion during Image-guided Radiosurgery
- 데스모이드 종양에 대한 조기 방사선치료의 필요성
- 인간 유방암 세포 이식마우스에서 EGFR/HER2 복합 Tyrosine Kinase 억제제인 GW572016에 의한 방사선증진효과
- 마우스에서 Cisplatin과 방사선조사로 유발된 구내염에 대한 재조합 표피성장인자의 효과
- 식도암에서 MDM2, p53, pRb 발현과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의 결과
- Internal Mammary Lymph Node Irradiation after Breast Conservation Surgery
- 후두암 및 폐암 세포주에서 Flavopiridol이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에 미치는 영향
- 원발병소 불명암의 경부림프절 전이에서 방사선치료의 역할
- Prophylactic Radiotherapy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Heterotopic Ossification after Surgical Intervention of the Elbow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종양학분야 BEST
- 두피의 포도주색 모반에서 발생한 화농성 육아종: 증례 보고 및 문헌고찰
- 무릎관절의 미만형 색소 융모 결절성 활액막염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육안적 활액막 전 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 Impact of adaptive radiotherapy on survival in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의약학 > 종양학분야 NEW
- Dosimetric analysis of different whole brain radiotherapy treatment planning methods: three types of 3-dimensional versus hippocampal avoidant
- To irradiate or to wait: practical considerations when planning for stereotactic radiosurgery for kidney tumors using magnetic resonance-guided online adaptive radiotherapy
- Definitive radiotherapy for unresectable ex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is it time for an updat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