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Typological Study on Word Orders among the Korean, Russian, English Languages -With the Focus on the Positions of Adverbs-
- 발행기관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저자명
- 임흥수(Im, Heung Su)
- 간행물 정보
-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11권 제1호, 37~5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부사의 위치 및 그와 관련된 어순을 중심으로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를 유형적 관점에서 비교하여 보편성과 특수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기본어순이 SOV인 한국어에서는 조사(후치사)에 의해 여격과 대격을 나타내는데 그 순서는 ‘여격-대격’의 양상을 보이고, SVO인 러시아어에서는 격 관계가 명사 자체의 곡용에 의해 표현되므로 어순은 자유롭게 변이될 수 있다. 하지만 동사구 내의 무표적인 어순은 ‘여격-대격’의 순서를 취한다. 역시 SVO인 영어는 독일어와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아 ‘여격-대격’의 어순과 ‘대격-여격’의 어순이 둘 다 나타난다. 조동사와 본동사의 상대적 어순은 기본어순인 SOV와 SVO 어순에 그대로 일치한다. 즉 SOV 언어인 한국어는 ‘본동사-조동사’ 어순을 취하고 SVO 언어인 러시아어와 영어는 ‘조동사-본동사’ 어순을 취한다. 목적어와 부사와의 관계는 주어를 제외하면 <동사+목적어+부사> 즉, VOA 또는 <부사+목적어+동사>, AOV라는 규칙성을 보인다. 몇 개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동사와 목적어 사이에 다른 요소를 두지 않으려는 경향이 뚜렷하다. 두개 이상의 부사가 연속될 경우에도 개별언어간 보편성을 발견
할 수 있다. 예컨대 SVO 언어에서는 VA1A2의 순서인 데 반해 SOV 언어에서는 VA2A1라는 역순을 보이지만, 동사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두 유형의 언어에서 모두 A1A2의 순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사를 중심으로 그와 친밀하고 가까운 것이 동사 가까이에 놓이려는 언어의 보편적인 경향이 어순을 결정짓는 원리라는 것을 인정하면 SOV 언어에 속하는 한국어와 SVO 언어에 속하는 러시아어, 영어가 이러한 어순의 대칭구조를 갖는다는 것은 당연하다. 부사의 위치를 동사를 중심으로 비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세 언어, 즉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가 비록 서로 다른 어족에 속하지만
일정한 부사의 위치가 동사를 중심으로 볼 때 일정한 규칙, 즉 유형적 보편성이 발견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both the language universals and language particulars by the typological comparison of word order among the Korean, English, Russian languages with the focus on the positions of adverbs. Its secondary aim is to provide some typological data which can predict and prevent interference condi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s for the relation between objects and adverbs, aside from subjects, no other element is found between them ( or ) except some frequent adverbs in Russian and English (. When the successive adverbs occur, they seem to be mirror images of adverb orders. Considering the distances from the verbs, each language has consistent adverb orders.
목차
국문 개요
1. 들어가는 말
2. 기본어순 비교
3. 동사구 내부의 어순 비교
4. 부사의 위치
5. 부사들 간의 어순 비교
6. 맺는 말
참 고 문 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차펙의 단편집 <두 호주머니 이야기>에 나타난 주제와 모티프 연구
- 폴란드어의 차용 어휘 연구
-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 제국 수립과 크로아티아 민족주의 : 1867-1878
- Mircea Eliade. Perenniality and Universality of Archetypes
- 고대 다치아(Dacia)의 신화들과 자몰세(Zamolxe) 신앙이 루마니아 문학에 끼친 영향
- 러시아어 접미사 -ik 재 고찰
- 현대 러시아 추리소설의 어휘 연구
- 한국어, 러시아어, 영어 어순의 유형론
- 발라드 <명인 마놀레>의 구조적 분석과 모티프
- 루마니아와 몰도바에서 나타나는 민족주의의 형성과정과 변화양상
- 류드밀라 울리쯔까야의 소설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배경과 주요 쟁점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살아있는 지역, 그것이 지역학이 필요한 이유다!
- 용인 고려백자문화를 활용한 문화도시 창출 - 용인시와 일본 카사마시를 중심으로
- 지역성의 발명 - 성남시 사랑방문화클럽 사례를 통한 지역성 인식에 관한 비판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