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spergillus niger 이용 미생물 발효차의 발효 중 미생물학적, 물리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이용수 849
- 영문명
- Microbiological,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icrobial-Fermented Tea Manufactured with Aspergillus niger during Fermentation
- 발행기관
- 한국차학회
- 저자명
- 강대진(Dae-Jin Kang) 문예화(Yi-Hua Wen) 최강현(Kang-Hyun Choi) 오덕환(Deog-Hwan Oh) 은종방(Jong-Bang Eun)
- 간행물 정보
- 『한국차학회지』제15권 제2호, 107~11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생물 발효차 제조 시 녹차를 121oC에서 15분간 고압 멸균하여 A. niger를 접종하여 제조한 미생물 발효차와 단일균주를 처리하지 않고 자연 발효시킨 발효차의 색도변화량을 비교하였을 때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에서 또한 단일 균주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차의 관능적 특성이 단일 균주 처리하지 않은 미생물 발효차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단일균주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차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A. niger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차는 제품화가 가능하나 독성 및 영양적 가치 등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microbiological,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microbial-fermented tea with
A. niger (MFTAN)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at 30℃ and 80% RH for 35 days.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the L* value of the MFTAN was decreased, but a* and b* values increased.
Microorganisms from naturally fermented tea were screened and isolated. An isolated microorganism
was identified as A. niger by rRNA sequence of analysi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result suggested
that the sensory properties were only of minor differentiation between MFTAN and control. In conclusion,
MFTAN manufactured with Korean green tea would be a good candidate of a microbial-fermented tea
and the physicochemical changes of the teas showed supportive evidence, to this fact, during fermentation.
The other microorganisms should be considered as starters to make microbial-fermented tea in future studies.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茶詩에 나타난 朝鮮 集賢殿 학사들의 茶文化 小考
- 차나무 재배지 토성이 차잎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 한방꽃차로서의 말린 괴화와 금은화의 휘발성 향기성분
- 감잎차의 ethanol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효과
- 通信使 外交儀禮에서 茶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 찻잎의 수확시기를 달리하여 제조한 돈차(錢茶)의 관능적 특성과 화학성분
- Aspergillus niger 이용 미생물 발효차의 발효 중 미생물학적, 물리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 16세기 다서에 나타난 炒製茶
- 低投入 持續性 環境保全形 農法에서 草生栽培를 응용한 淸淨 綠茶 栽培 技術 體系化
- 한(韓)․중(中)․일(日) 지역에서 수집된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O. Kuntze)잎의 형태별 분류
- 茶文化와 儒家의 中和 思想 (Ⅰ)
- 차생활 교육이 초등학교 1학년의 주의 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