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Result of Radiotherapy for Esophagus Cancer

이용수  11

영문명
발행기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저자명
정태식(Taesig Jung) 문창우(Changwoo Moon) 염하용(Hayong Yum) 양칠용(Chilyong Yang)
간행물 정보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제6권 제2호, 211~22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종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88.12.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방사선 단독 치료나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165명의 식도암 환자중에서 평균 생존율은 6.6개원이였으며 3,5년 생존율은 16%, 8%였다. 생존율을 semilogarithmical하게 나타낸 biphasic plotting에서 보면 non-responder group은 치료에도 불구하고 1년내 모두 사망하였고 responder group 중에서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환자 20명 (54%)은 1,2,3년 생존율이 각각 80%, 70%, 60%였으며, 방사선 치료만 받은 환자 61명 (48%)의 생존율은 각각 62%, 38%, 23%였다. 즉, 3년간의 생존율의 비교는 수술후 방사선 치료가 방사선 단독치료 보다는 좋았다(p<0.01). 가장 많은 사망의 원인으로는 연하곤란(55%)이였으며 환자의 대다수는 국소적인 치료실패에 의해 사망하였으며(62%) 협착의 88%는 지속적인 암의 존재와 관련이 있었다. 환자의 50%는 국소적인 임파절 전이가 발견되었다. 수술전의 진단 실패율은 54%가 국소임파절 전이때문에, 29.7%가 육안적인 임파절 전이 때문에, 13.5%가 혈행성 전이 때문에 그리고 14%가 국소적인 직접 침범 때문이었다. Conventional radiation (6000 cGy/30 fraction in 6 weeks)이나 hyperfractionation radiation (upto 6900 cGy, 115 cGy/fraction)이거나 관계없이 gross disease는 충분히 죽일수 없었다. 그러나 hyperfractionation 테크닉에 의해서 급성 방사선 염증이 감소되어서 환자의 고통을 덜어줄 수 있었으며 그후의 만성 부작용으로서의 방사선 합병증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영문 초록

Among 165 patients of esophagus cancer treated by either radiation alone or postoperative radiation, median survival period was 6.6 months, 16% 3 years and 8% 5 years crude survival in biphasic plotting of survival curve semilogarithmically all nonresponder died within one year regardless of treatments and in responder each 1,2,3 years survival rate was 80%, 70%, 60% in the group of postoperative radiation among 20 patients (54% of 37 patients) respectively and 62%, 38%, 23% each in the group of radiation alone among 61 patients (48% of 128 patients) respectively, better survival rate of postoperative radiation vs radiation alone in 3 year (P<0.01).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as dysphagia 55%, and majority of patients died by failure to control the disease locally 62%, 88% of stricture were associated with persistenece of cancer in esophagus. 50% of patients was found to have locoregional metastatic nodes. Preoperative diagnostic failure rate was for metastatic locoregional nodes was 54%, for grossly metastatic nodes 29.7%, for blood borne organ metastasis 13.5%, and for local extent of the disease 14%. The residual cancer at surgical margin on postitive node was not effectively killed by either 5000 to 5500 cGy conventional radiation or 5290 to 5750 cGy with 115 cGy fraction in 2 times daily: hyperfractionated radiation. However hyperfractionation schedule decreased the both acute and late complications in this stud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태식(Taesig Jung),문창우(Changwoo Moon),염하용(Hayong Yum),양칠용(Chilyong Yang). (1988).Result of Radiotherapy for Esophagus Cancer.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6 (2), 211-226

MLA

정태식(Taesig Jung),문창우(Changwoo Moon),염하용(Hayong Yum),양칠용(Chilyong Yang). "Result of Radiotherapy for Esophagus Cancer."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6.2(1988): 211-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