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asurement of Double Staining for Senescence Associated-β-Galactosidase Activity and Keratin 10 or Involucrin in Monolayer and Organotypic Cultured Keratinocytes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김종휘(Jong Whee Kim) 류 음(Yin Liu) 성훈기(Hoon Ki Sung) 정태은(Tae Eun Jung) 박정현(Jeong Hyun Park) 김주영(Joo Young Kim) 송인환(In Hwan Song) 이융창(Yung Chang Lee) 성언기(Eon Gi Sung)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34권 제6호, 545~55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실험은 노화의 표지자로 사용되는 senescence associated-β-galactosidase (SA-β-gal)와 분화의 척도로 이용되는 keratin 10 (K10) 혹은 involucrin을 한 개의 각질화세포에 표현할 수 있는 이중염색 방법을 확립하고, 노화와 분화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구로써 이중염색의 유용성을 검정하고자 단층배양된 각질화세포와 시험관내에서 제작된 인공피부를 이중염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단층배양된 각질화세포 대부분이 SA-β-gal과 K10 혹은 SA-β-gal과 involucrin에 이중염색되어 노화와 분화는 동일한
세포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임을 이중염색으로 증명할 수 있었다.
인공피부의 파라핀표본은 형태보존은 좋았으나 SA-β-gal 반응성이 나빠 이중염색에 사용될 수 없었고, 냉동표본은 형
태보존이 나쁜 단점은 있으나 SA-β-gal 반응성이 훌륭하여 이중염색을 위한 표본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이중염색은 인공피부 제작시 발생된 구조적 결함에 의한 세포의 노화와 분화의 혼란을 잘 표현하였다. 즉 여러 층의 두꺼운 바닥층이 형성되고, 표피의 각 층마다 고유의 형태적인 특징이 소실되고, 세포사이의 간극이 매우 넓어져 있는 등
의 구조 및 형태적 혼란을 보이는 인공피부에서는 SA-β-gal 반응이 나타났고, 바닥층에 K10과 involucrin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구조 및 형태가 생체의 것과 유사하게 잘 배열된 인공피부에서는 SA-β-gal 반응은 없었고, K10과 involucrin 반응이 바닥층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SA-β-gal과 K10 혹은 involucrin 이중염색은 비록 완전하지는 않으나 노화와 분화를 동시에 표현할 수 있는
염색방법으로 많은 유용성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experiment developed the methodology of double staining for senescence associated-β-galactosidase (SA-β-
gal) activity and keratin 10 (K10) or involucrin. To prove the usefulness of the double staining, the autho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escence and differentiation in monolayer and organotypic cultured keratinocy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K10 and involcrin together with SA-β-gal were doubly stained in most of monolayer cultured keratinocyte. This
fact indicated that the senescence and differentiation had simultaneously occurred in the same keratinocyte.
In spite of the advantages to preserving structures, the paraffin specimen was not suitable for double staining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SA-β-gal reactivity. Although the cryosectioned specimen did not have the morphology as good as the paraffin specimen, it was suitable for double staining due to the goodness of SA-β-gal reactivity.
Double staining well reflected the disturbances of senescence and differentiation which could be caused by deranged organizations of the organotypic cultured skin. The organotypic cultured skin which showed deranged organizations such as stratified basal layer, no typical cell features in each epdermal layer, and wide intercellular spaces had SA-β-gal activity in epidermis and K10 or involucrin reaction in basal cell. But the skin which showed well arranged organizations resembling in vivo skin had no SA-β-gal activity and no K10 or involucrin reaction in basal cells.
In conclusion, it might be suggested that the double staining for SA-β-gal activity and K10 or involucrin could be used for detecting the extent of senescence and differentiation in the same cell.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흰쥐 시상하부에서 Brain Natriuretic Peptide면역반응 신경세포의 분포에 관한 연구
- Freund’s complete adjuvant로 유발된 염증성 통증이 흰쥐 척수의 nitric oxide 및 neuropeptide-Y에 미치는 영향
- Accumulation of Peroxidase-Positive Granules with Ageing in SAMP10 and SAMR1 Mouse Brains
- 발생과정의 흰쥐 콩팥에서 표피성장인자의 발현
- Furosemide투여가 출생직후 흰쥐콩팥유두의 형태발생에 미치는 영향
- 피부에 색소의 침착과 조절
- 배양된 각질화세포에서 β-galactosidase와 keratin 10 혹은 involucrin의 이중염색
- 인공피부 및 단층배양된 각질화세포의 노화와 분화
- 흰쥐 앞뇌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α면역반응 신경세포의 분포에 관한 연구
- 탈수와 재급수시킨 흰쥐 심방근육세포의 미세구조와 특수과립의 변화
- 실험적으로 유발한 흰쥐 관절염 모델에서 COX 억제제, NMDA 수용체 길항제와 capsaicin이 척수 뒤뿔의 c-fos 단백질과 척수신경절의 substance P, CGRP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