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munohistochemical Localizaion of Carbonic Anhydrase Isozymes IV and IX in Rat Salivary Gland
- 발행기관
- 대한해부학회
- 저자명
- 조태영(Tae Young Cho) 이송은(Song Eun Lee) 남광일(Kwang Il Nam) 정채용(Chaeyong Jung) 안규윤(Kyu Youn Ahn) 배춘상(Choon Sang Bae) 김백윤(Baik Yoon Kim) 박성식(Sung Sik Park)
- 간행물 정보
- 『대한해부학회지』제42권 제4호, 325~33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침샘에서 carbonic anhydrase(CA) 동위효소의 발현 여부를 관찰하고자 흰쥐 귀밑샘과 턱밑샘을 대상으로 CAs I, II, IV 및 IX 동위효소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고, 이들 조직에서 각각의 CA 동위효소 단백발현을 Western blot 분석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Western blot 분석 결과 귀밑샘은 CAs I, II와 IX는 강하게 발현되었고 CA IV는 미약하게 발현되었다. 턱밑샘에서는 CAs I과 II는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Cs IX는 미약하게 발현하게 발현되었고 CA IV는 발현되지 않았다.
H-E 염색에서 귀밑샘은 장액샘꽈리와 도관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턱밑샘은 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유턱밑샘형소엽과 점액샘꽈리와 장액반달로 구성된 혀밑샘형 소엽으로 되어 있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 귀밑샘은 CA IV, IX 및 I의 반응은 사이관, 줄무늬관 및 소엽사이관 같은 도관세포에서 양성을 보이고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다. CA II 반응은 도관세포와 샘꽈리세포에서 양성이었다. 턱밑샘의 고유턱밑샘형 소엽에서 CA IV, IX 및 I의 반응은 도관세포에서는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다. CA II 반응은 도과세포와 장액샘꽈리세포에서 모두 양성이었다. 턱밑샘의 혀밑샘형 소엽에서 CAs IV, IX 및 I 반응은 도관세포에서는 양성을 보였으나 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다. CA II 반응은 도과세포와 장액반달세포에서 양성이었으나 점액샘꽈리세포에서는 음성이었다.
이상의 관찰로 흰쥐 귀밑샘과 턱밑샘에 분포하는 CA 동위 효소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침 도관세포에서의 전해질 대사는 CAs I과 II뿐 아니라 CAs IV와 IX도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distribution of carbonic anhydrase(CA) isozymes IV and IX, membrane associated forms, and CA I and II, cytoplasmic forms, in rat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stern blot analysis demonstrated that CAs I, II and IX were found to be abundantly expressed, but CA IV was weakly expressed in parotid gland. Submandibular gland expressed abundant CAs I and II, weak CA IX, and undetectable level of CA IV. In hematoxylin-eosin staining, parotid gland was entirely composed of serous acini and their ducts while submandibular gland was mixed population of serous and mucous lobules. Most of lobules (submandibular gland proper type) contained mostly serous acini and their ducts with granular convoluted duct. Some lobules (sublingual gland type) contained mostly mucous acini with serous demilune and their ducts without granular convoluted duct. In parotid gland, CAs IV and IX were immunolocalized in duct cells and not in serous acinar cells. Immunoreactivity for CAs I and II was also detectavle in duct cells. Serous acinar cells were positive for CA II, and negative for CA I. In submandibular gland, CAs IV and IX were immunolocalized in duct cells but not in acinar cells of both types of lobules. Immunoreactivity for CAs I and II was also detectable in duct cells of both types of lobules. Cells of serous acini and serous demilune were positive for CA II, and negative for CA I. Mucous cells were negative for both CAs I and II.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distribution of CA isoenzymes in parotid and submandibular glands of the rat, and suggest CAs IV and IX as well as CAs I and II are related to electrolytes metabolism of saliva in duct cell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ipopolysaccharide를 투여한 흰쥐 콩팥에서 iNOS 발현과 NADPH-diaphorase 활성의 비교
- 흰쥐 침샘에서 Carbonic Anhydrase 동위효소 IV와 IX의 분포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위팔에서 자신경 죄임증후군과 관련된 인대와 근육변이
- Regulation of Neurogenesis and Apoptosis through the NHE1 in Lithium-treated Rat Dentate gyrus
- Array-비교유전체보합법을 이용한 결장암세포주에서의 유전체 변이 연구
- 온몸의 연속절단면영상 여덟째 보고
- Statistical Analysis for Organ Weights in Korean Adult Autopsies
- OLETF 쥐에서 Thiazolidinediones 투여가 발기와 관련된 큰골반신결절 신경세포의 신경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한해부학회지 투고규정 외
- 한국인 태아 두피 털주머니 발생과정에서 bcl-2의 발현
- 국소적 대뇌허혈 동물모델에서 Diazoxided의 신경보호효과
- Absenc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25 in the Cerebellum of Ataxic Mutant Pogo Mouse
- Gene Knockdown in the Olfactory Bulb, Amygdala, and Hypothalamus by Intranasal siRNA Administration
- Chios Gum Mastic Induces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Osteosarcoma Cells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s of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 for Thai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and Phonologic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Speech Sound Acquisition of 3-Year-Old Children
- Comparison of Speech Processing in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