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흰쥐 샘뇌하수체 Folliculostellate cell에서의 Metallothionein-1, 2의 발현

이용수  42

영문명
Expression of Metallothionein-1, 2 in Folliculostellate Cells of Rat Anterior Pituitary Gland
발행기관
대한해부학회
저자명
이상혁(Sang Hyuk Lee) 조미행(Mi Haeng Cho) 김문영(Moon Young Kim) 이영일(Young Il Lee) 박경한(Kyeong Han Park)
간행물 정보
『대한해부학회지』제37권 제1호, 61~66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2.28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Metallothionein (MT) family는 세포 내의 중금속 결합 단백질로서 아연, 구리 등의 대사에 관여하며 뇌하수체를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 분포한다. 광학현미경과 공초점주사현미경(confocal microscope)을 이용하여 정상 흰쥐의 샘뇌하수체에서 MT-1, 2의 면역반응성을 동정하고, 내분비세포의 조절에 관여하는 folliculostellate cell이나 성장호르몬분비세포와의 연관성을 형태학적으로 관찰 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흰쥐 뇌하수체 앞엽의 pars distalis와 pars intermedia에서 모두 MT-1, 2 면역반응이 관찰되었다. 공초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이중면역조직화학을 시행한 결과 MT-1, 2 면역반응이 S100 양성인 folliculostellate cell과 cyst-lining cell에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나, 성장호르몬분비세포에서는 MT-1, 2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샘뇌하수체의 pars distalis의 folliculostellate cell이 MT-1, 2를 함유한다는 최초의 보고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folliculostellate cell에 존재하는 MT-1, 2가 샘뇌하수체의 내분비작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MT-1, 2가 folliculostellate cell에 특이적인 염색성을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folliculostellate cell의 새로운 표지물질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Metallothionein (MT) family, intracellular zinc binding proteins, has been suggested to play an important regulatory role in zinc metabolism. The present study utilized light and confocal microscopic method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pattern of MT-1, 2 and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and extent of colocalization of MT-1, 2 relative to subpopulations of S100 positive folliculostellate (FS) cells and somatotrophs in normal rat anterior pituitary. By light microscopy, MT-1, 2 immunoreactivity was observed both in pars intermedia and pars distalis of anterior pituitary. Confocal microscopy revealed that most MT immunoreactivity was colocalized in S100 positive FS cells, not in somatotrophs.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FS cells in pars distalis contain MT-1, 2. These results suggest that MT family may be involved in regulation of hypophyseal endocrine functions and can be used as new markers of FS cell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혁(Sang Hyuk Lee),조미행(Mi Haeng Cho),김문영(Moon Young Kim),이영일(Young Il Lee),박경한(Kyeong Han Park). (2004).흰쥐 샘뇌하수체 Folliculostellate cell에서의 Metallothionein-1, 2의 발현. 대한해부학회지, 37 (1), 61-66

MLA

이상혁(Sang Hyuk Lee),조미행(Mi Haeng Cho),김문영(Moon Young Kim),이영일(Young Il Lee),박경한(Kyeong Han Park). "흰쥐 샘뇌하수체 Folliculostellate cell에서의 Metallothionein-1, 2의 발현." 대한해부학회지, 37.1(2004): 6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