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주이야기로 살려내는 글쓰기 교육
이용수 116
- 영문명
- Giving Life to Writing Education with 'Majuiyagi' Korean Expression for 'talking face-to-face'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박문희(Pack, Moon-hee)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3권 제2호, 33~6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글쓰기 교육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글쓰기는 말을 글자로 담아 놓는 일이니, 말을 떠나서는 이야기를 할 수가 없습니다. 말하기 교육이 처음부터 잘못 되었습니다.
우리의 말하기 교육은, 말이 먼저 있는 게 아니고 글자가 먼저 있습니다. 글자를 보고 외우는 웅변, 동화구연, 동시낭송 이런 교육이 말하기 교육이라고 해 왔습니다. 글자를 외워서 하는 말은, 아이들이 하고 싶은 말이 아닙니다. 따라서 하고 싶은 말을 쓰는 글쓰기로 이어지지가 않습니다.
말하기 교육은, 아이들 말을 들어주는 것입니다. 아이들이 하고 싶은 말, 외우지 않고 하는 말, 문제가 가득 들어 있는 말을 들어 줘야 합니다. 말이 글자보다 앞자리에 있어야 합니다. 살아있는 말을 학교 안으로 집안으로 끌어 들여와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들이 말하듯이 글쓰기를 하게 됩니다. 아이들 말 들어주기를 으뜸으로 하는 마주이야기 교육을 합시다. 마주이야기 교육으로 아이들 말을 살리고, 글을 살리고 교육을 살리고 아이들을 살리도록 합시다.
영문 초록
Writing education in Korea has been collapsing. Since writing is to keep the speaking in the shape of letter, we cannot discuss on this matter without speaking. The speaking education is wrong from the beginning.
Our speaking education put the letter before speaking. Oratory, fairy tale narration and poem recitation after memorizing the texts have been called as speaking education. Speaking after memorizing the next is not what children want to speak. And that is why they cannot write what they really want to write.
Speaking education is to listen what the children speak. We have to listen to their talk that they really want, without memorizing, which is full of questions. Speaking must be put before the letter. We have to bring the live speaking into the school and home.
It is the way to allow the children to write as they talk. Let's practice Majuiyagi which put listening to the children first. Let's give life to speaking and writing of children, to education and to our children.
목차
요약
1 글쓰기 교육 문제
2 우리 교육에서 말하기 교육을 하고 있는가?
3 마주이야기 교육
4 아이들 말 들어주기를 힘들어 하는 어른들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 가정 아동 국어 교육 지도사례'에 대한 토론글
- "참고서라는 우상"에 대한 토론글
- '말무리 가르치는 길 견주어 보기'에 대한 토론글
- '마주이야기로 살려내는 글쓰기 교육'에 대한 토론글
- '다문화 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에 관한 사례 연구'에 대한 토론글
-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한국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한 토론글
- '고전 운문 수업의 실제'에 대한 토론글
- '참고서라는 우상'에 대한 토론글
- 참고서라는 우상
-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국어 교육 지도 사례
- 낱말무리 가르치는 길 견주어 보기
- '마주이야기로 하는 균형적 교수법 실제'에 대한 토론글
- '옛글 수업의 어려움'에 대한 토론글
- 휘보 외
- 고전운문 수업의 실제
- 마주이야기로 살려내는 글쓰기 교육
-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한국 문화 교육 방안
- 「우리말 가르치는 길잡이 2007」에 대한 검토
- 다문화 가정 학생의 읽기 능력에 관한 사례 연구
- 마주이야기로 하는 균형적 교수법의 실제
- 옛글 수업을 어떻게 할까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