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 Knowledge in the Mobile Internet Service Loyalty Formation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이태민(Lee, ThaeMi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27권 제3호, 29~4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화-신뢰-충성도로 이어지는 이성적 경로와 연결성-동일시-충성도로 이어지는 감성적 경로의 이중적 경로로 구성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충성도 형성모형을 확장하여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환경만의 독특한 특성인 정황적 상호작용을 반영하고자 하였으며, 확장모형의 구조적 관계에서 소비자 지식수준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실증결과 기존의 이중경로모형에 비해 모바일 인터넷의 독특한 상호작용 특성인 정황적 가치를 고려한 확장모형이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충성도 형성 모형으로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결과로서는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개인화-신뢰-충성도로 이러지는 이성적 경로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은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연결성-동일시-충성도로 이러지는 감성적 경로ㅡ이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 충성도 형성과정에서 정황적 가치의 영향력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은 소비자들이 높은 소비자들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충성도 형성과정에 대한 새로운 경로를 추가하고 이러한 충성도 형성과정의 구조적 관계가 소비자 지식수준에 따라 차별화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 knowledge in the mobile Internet service loyalty formation process. The chi-square difference tests show that the addition of the new path(contextual perceived value → loyalty) improves the model fit. Thus, in mobile Internet service environments, customer loyalty is best described by the hypothesized model in which the new path is included.
The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hard path coefficient (personalization → trust → loyalty) was greater for high-knowledge consumers. The soft path (connectedness → identification → loyalty) was greater for low-knowledge consumers than for high-knowledge consumer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mobile marketing strategy are discu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중국 무역활성화를 위한 한국 물류기업 진출전략
- The Effects of eWOM Objectivity on Perceived Credibility
- 주 브랜드의 순서가 브랜드 제휴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도요타 생산시스템의 기업문화가 생산관리 목표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충성도 형성과정의 구조적 관계에서 소비자 지식수준의 조절효과
- 도시 아이덴티티 구현을 위한 공공디자인 평가 틀의 제안
- Goal Orientations of Hotel Salespeople
- 자동차의 외형과 성격특성
- 대학 연구시설의 면적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 공익연계 마케팅의 평가에서 공익제시유형의 효과
- 상품학연구 편집규정 외
- 단수가격의 효과
- 한국과 중국의 히트상품에 대한 대학생 고객의 구매성향 비교연구
- 저/고 관여 제품에 있어서 생생한 자극매체로서 제품디자인이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리더십효능감과 선제적 행동의 관계와 LMX질의 매개효과
- 리더의 타인지향완벽주의가 수동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나르시시즘과 도덕면허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직위 중심 리더십 역량 모델을 활용한 신임 경찰관의 리더십 역량 요구분석: Borich 모델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