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s of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EMG Onset Time During Quadriceps Strengthening Exercise in Neutral and Adducted Hip Position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최보람(Bo-ram Choi) 김민희(Min-hee Kim) 전혜선(Hye-seon J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6권 제3호, 42~49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vastus medialis oblique (VMO) and the vastus lateralis (VL) onset time differences (OTD) during quadriceps contraction in different hip positions. Twelve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four men, eight women). Surface EMG activities of the VMO and VL were measured during a quadriceps strengthening exercise in a long sitting condition and in a sitting at a chair with feet hanging condition. For each condition, subjects were tested in two hip positions (neutral and adduction). The OTD between the two muscles was calculated for each condition, by subtracting the onset time of the VL from the VMO. Therefore, the negative value of OTD represent earlier EMG onset of the VMO compared to the VL. The OT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hip neutral and the hip adduction position in the long sitting condition (p=.064). However, the OT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hip neutral position (15.83±109.51 ㎳) and hip adduction position (-5.58±121.08 ㎳) during the sitting at a chair with feet hanging condition (p=.047). The negative OTD value in the hip adduction condition during quadriceps strengthening exercises is the result of earlier onset of the VMO than VL. Therefore, quadriceps contraction in the hip adduction position can prevent the risk of patella lateral tracking. We expect that quadriceps strengthening exercise in the hip adduction position will be a safe way to prevent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resulting from abnormal patella lateral tracking.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투고규정 외
-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신체기능에 대한 운동치료의 효과
- 뒤시엔느 근 이영양증 환자에서 기능 수준과 측정 자세에 따른 최대호기유량, 1초간노력성호기량 및 최대기침유량의 변화
- 반복 들기 작업에 따른 허리주변 근육의 근활성도와 근피로도에 대한 근전도 분석
- 대퇴사두근 근력 운동 시 고관절 중립 자세와 내전 자세에 따른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근수축 개시 시간 차이 비교
- 심부경부굴곡 운동 시 복근 수축이 표면경부굴곡근의 근활성도, 흉곽 거상, 두개경부굴곡 각도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의 무릎관절 신전 등척성 운동 시 의자 종류와 골반통제가 넙다리네갈래근 근력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노인들의 건강행태와 삶의 질 수준
- 비급성기 요통환자에 있어 장애를 예측하는 요인으로서의 통증관련 두려움과 우울
- 신발 뒤굽 높이가 계단 올라가기 및 내려오기 동안 내측광근과 외측광근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치매안심마을의 향후 연구 방향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