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싱글맘가정 자녀의 정서적 지원체계로서의 개인상담

이용수  603

영문명
Individual Counselling as an Emotional Support System for the Children in a Single-Mom Family
발행기관
한국한부모가정학회
저자명
황은실(Hwang Eun-sil)
간행물 정보
『한국한부모가정학』2권 1호, 57~9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상담사례 연구는 싱글맘가정 자녀의 정서적 심리적 지원체계의 중요성과 그에 준하는 상담사례를 통해 한부모가정 아동의 어려움을 돕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약 6개월 동안, 매주 1회 1시간씩 상담소를 내방한 아동을 상담하였다. 내담자는 싱글맘의 자녀로 부모의 이혼과정과 이혼으로 인해 정서적,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를 적절히 해결하지 못해 정서적, 신체적 장애를 동반하고 있다. 내담자의 주 호소내용은 분리불안과 정동반응, 분노장애, 신체화 장애 등이었다. 이에 상담의 진행방법은 미술치료 접근으로 하는 지지적 역동상담으로 아동의 내제된 부정적 감정과 무의식에 잠재된 감정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감과 지지를 통해 반응하는 것이었다. 또한 아동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바라 볼 수 있도록 적절한 직면과정을 통해 치료동맹의 상호작용 안에서 지지하는 역동상담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은 이혼가정의 현 상황을 점진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하게 되었으며, 부정적인 가족관계로 인한 정서장애와 낮아진 자존감이 회복되는 등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elp children in a single-parent family by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a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for the children of a single-mom and the corresponding case studies of counselling. To achieve such goal, a counselling survey was conducted to the children who visited a counsellor's office once a week for an hour per session over the course of six months. The subjected children were living with their mothers only and undergo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by a divorce process of their parents and the divorce itself. They could not properly deal with the stress, hence experiencing emotional and physical disorder. The major symptoms of the children were separation anxiety, affect response, anger disorder, and somatization disorder. A process of the counselling embraced a supportive dynamic counselling based on art therapy approach which promotes adequate empathy and support, so as to encourage children to express their internalized negative emotions and subconscious emotional baggage. Moreover an appropriate 'confrontation' procedure was implemented for the children to face and observe their own problems, so that the counselling became dynamic by the synergic interaction of a therapeutic collaboration. Subsequently the children were able to gradually understand and accep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divorced parents. Consequently they recovered from the emotional disorder and low self-esteem caused by negative familial relationships, hence capable of an appropri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general.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한부모가정 아동 개인상담 사례
Ⅲ. 결 론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은실(Hwang Eun-sil). (2009).싱글맘가정 자녀의 정서적 지원체계로서의 개인상담. 한국한부모가정학, 2 (1), 57-91

MLA

황은실(Hwang Eun-sil). "싱글맘가정 자녀의 정서적 지원체계로서의 개인상담." 한국한부모가정학, 2.1(2009): 57-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