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Low and Moderate Intensity Treadmill Exercise on Functional Recovery and Histological Changes After Spinal Cord Injury in the Rats
- 발행기관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기도(Gi-do Kim) 김계엽(Gye-yeop Kim) 김은정(Eun-j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6권 제2호, 41~4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f low-intensity and moderate-
intensity on the functional recovery and histological change in spinal cord injury (SCI) rats. SCI was induced by the spinal cord impactor dropped after laminectomy.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Ⅰ (normal control), Group Ⅱ (non-treatment after SCI induction), Group Ⅲ (low-intensity treadmill exercise after SCI induction), Group Ⅳ (moderate-intensity treadmill exercise after SCI induction). After operation, rats were tested at modified Tarlov scale at 2 days with divided into 4 groups, and motor behavior test (BBB locomotor rating scale, Grid walk test) was examined at 3, 7, 14, and 21 days. For the observation of damage change and size of the organized surface in spinal cord, histopathological studies were performed at 21 days by H & E, and BDNF(brain-derived neutrophic factor) & Trk-b immunohistochemistry studies were performed at 1, 3, 7, 14, 21 days. According to the results, treadmill exercise can play a role in facilitating recovery of locomotion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Specially, moderate-intensity treadmill exercise after SCI induction was most improvement in functional recovery and histological chang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인용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뇌졸중 환자에서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환측 근육의 방사형태에 미치는 영향: 사전연구
- 타이핑작업 시 수직형 키보드의 수평면 끼인각 변화에 따른 상지의 근활성도 비교
- 뇌졸중 환자에서 수의적인 상·하지 움직임 시 선택적인 체간 근육의 선행적 자세조절
- 발가락 감기 운동 시 지절관절 자세에 따른 무지외전근의 근 활성도 비교
- 운동기술훈련이 태아알코올증후군 흰쥐 모델의 소뇌 발달과 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 척수손상 백서모델에서 저강도 및 중강도 트레드밀 운동이 운동기능회복 및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투고규정 외
- 요통 환자에서 앉은 자세가 척추 만곡과 체간 근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한국판 공포-회피 반응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 체간 조절을 통한 앉기 자세 교정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들의 호흡근과 음향학적 측정치들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대학생의 소셜 미디어에 대한 과도한 이용과 중독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이용자에게 적용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치매안심마을의 향후 연구 방향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Effect of maximum expiration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during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individual
- The Effects of Combined tDCS and Sling Exercise on Cervical Muscle Propert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Explor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mart Insoles in Gait Parameter Measurement: A Cross-sectional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