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영어 스펠링 쓰기와 읽기 능력
이용수 848
- 영문명
- Spelling skills and reading ability of primary schoo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Lee, Yoon)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15권 1호, 87~11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ome researches suggest that spelling and 초등학생의 영어 스펠링 능력과 읽기 능력 87word recognition behaviors follow a different processing system while other researches report that both skills draw on the same knowledge base. After decades-long argumentation, researchers reached a consensus that early orthographic knowledge is essential to spelling skill acquisition, as well as word recognition.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lling skills and the reading ability of children.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several tests were administered to 228 primary school graders.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tested with a spelling test and a reading test in March 2008, and an other reading test was administered to the same subjects nine months la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zed data revealed that there w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bility and spelling skills, and that the spelling score could predict later reading ability to a great extent. Findings indicate that spelling skill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later reading ability and therefore, could be an important indicator of later read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hildren should be supported with orthographic knowledge in the early reading stages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ovided for spelling instruction.
목차
영문초록
Ⅰ. 서론
Ⅱ. 영어 읽기 능력과 스펠링 쓰기 능력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의 영어 스펠링 쓰기와 읽기 능력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회칙 외
- Unfinished Developments
- 영어동시 활용 초등영어 읽기-쓰기 연계학습에 대한 연구
- 전자칠판을 이용한 초등영어에서 전자칠판을 이용한 초등영어에서 상호작용적 수업의 효과성 연구
- A Study on the EFL Young Learners' Error Revision Processes in Written Instruction
- 영어·미술 통합수업을 통한 내용중심 초등영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The Balance of Reflection and Information in English Language Teacher Development
- 영어 읽기 장애현상을 보이는 아동의 효과적 지도에 관한 사례연구
- 주제중심의 초등영어 수준별 통합수업의 인지적·정의적 효과
- 영어몰입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