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80~90년대 한국노동자의 정치적 문화적 실천과 무형식 학습경험 연구
이용수 407
- 영문명
- A Study of Korean Workers' Informal Learning in their Political & Cultural Practice during the 1980s and 1990s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석규(Kim, Suk Kyu)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5권 제1호, 155~17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3.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문화역사적 심리학자들 - Lev Vygotsky와 Mikhail Bakhtin-의 이론에 근거하여 정치적 문화적 실천(praxis) 속에서 이루어지는 무형식 학습(informal learning)의 내용과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하여, 1980년대 이후 한국노동운동에 참여해온 활동가 두 명의 학습경험을 분석하였다. 여기에 초점을 맞추는 학습경험은 교사와 교과과정이 없이 이루어진 무형식 학습이다. 이들의 학습과정은 정치적 문화적 성격을 갖는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에의 참여와 매개도구(mediating artifacts)-이야기(narrative)와 담론(discourse)-의 변용(appropriation), 그리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마음속 대화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 주요한 학습 내용은 노동계급의식을 확립하고 노동운동가로서 정체성을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으로써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생애사(life history) 연구를 채택하였고, 심층 인터뷰와 공동해석 작업에 의존하였음을 밝힌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theories of Lev Vygotsky and Mikhail Bakhtin, I analyze Korean workers' informal learning, which contributed to developing their identities through their political and cultural practice. Political and cultural practice in labor movements develops workers' identities through the process of mastering and improvising cultural artifacts, such as tools, discourses, and narratives. Analyzing the life history of two Korean workers, I used Vygotskyan concepts(e.g. Jean Lave and EtienneWenger's concept: community of practice) and Bakhtinian concepts(e.g., Dorothy Holland's concept: inner dialogue). In the end, I demonstrate not only how informal learning develops workers' identities, but also how it has been accomplished in their political and cultural practic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에서의 정치경제지도자양성의 실천사례
- 영국 University of Warwick의 지역성인대학생을 위한 시간제 학위와 2+2 학위 개발 사례 연구
-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과정의 장애요인과 학습의 의미
- 노인의 학습경험에서 도출한 노인완성학습으로서의 노인학습 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
- 1980~90년대 한국노동자의 정치적 문화적 실천과 무형식 학습경험 연구
- 한국평생교육학회 회칙 외
- 지역사회 실천조직으로서 학습동아리에서의 학습과정
- 평생학습 연구 방법으로 학습생애사의 의의와 가능성 탐색
- 지역사회 참여 평생학습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의 생의 의미와 사회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 탈(脫)학교, 입(入)학습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