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actors of the Obstruction in the Process of Classroom Instruction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정한호(Jeong, Han-Ho)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32輯, 63~9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1.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실수업은 교실수업환경 내부 및 외부로 부터 방해를 받고 있다. 그러나 교실수업이 방해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실질적인 방해원인이 무엇이며, 이로 인해 교실수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교실수업 방해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상적인 상황에서 진행되는 교실수업을 직접 관찰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교실수업은 관찰하기도 쉽지 않으며 한두 달 간의 짧은 기간으로 탐색하고 분석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 27명(남 8, 여 19)의 교실수업을 약 6개월간에 걸쳐서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교실수업 관찰 및 교사 면담을 통하여 교실수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방해원인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교실수업 방해원인은 학생의 학습활동 이탈과 교사 통제, 다양한 교수-학생방법의 부재, 알림장 쓰기, 청소, 수업준비, 우유급식, 점심급식, 교실수업 중 동료 교사의 방문이나 회람, 갑작스런 회의, 학교교육과정상의 진도, 수업 중에 울리는 전화벨, 수업 중에 오는 각종 보고 공문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실수업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현재의 교실수업환경을 고려한 교실수업 방해원인 제거전략을 강구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해 준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Now, the problem is that a classroom instruction was received obstruction from various factors in educational surroundings. But one major problem is that we have a feeble grasp despite the interruption in the classroom instruction. We can't also catch the factor of the negative effect on the classroom instruction in the concret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observe classroom instructions and analyze for searching causes of the obstruction in the process of classroom instruction. But it is impossible to observe classroom instructions in a month or two. The observation was executed with 27(male8, female19) teachers' classroom instructions for 6 month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grasp factors of the obstruction in the process of classroom instruction through observation and interview.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causes of the obstruction in the process of classroom instruction were learners' deviation in learning activity and teacher's control, teaching-learning method missing, writing correspondence, cleaning, preparing for materials, milk, school lunch, unexpected visiting in the process of class from colleague at school or circular, the progress of class, the ringing of a telephone, and official documents for repor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look for solutions for removing causes of the obstruction in the process of classroom instruction.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문제
Ⅲ. 이론적 배경
Ⅳ. 연구 방법
Ⅵ. 연구 결과 및 해석
Ⅶ. 논의 및 결론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수학 제27권 제2호 목차
-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소인수분해 개념 도입의 변화와 교과서 분석: 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생산적 수업 담론을 위한 ‘5관행’ 적용 고등학교 수업 실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