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linical Study of Aseptic Meningitis in Ulsan from May to July, 2002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김치관(Chi Kwan Kim) 하태영(Tae Young Ha) 이준화(Jun Hwa Lee) 윤재득(Jae Deuk Yoon) 김영돈(Young Don Kim) 지영미(Young Mee Jee) 박상규(Sang Kyu Park) 정진영(Jin Young Jung)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1권 제2호, 328~33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 적 : 2002년 울산지역에서는 무균성 뇌막염이 급속히 유행하여 많은 소아들이 입원하여 치료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울산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의 임상 양상과 검사소견 및 원인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5월부터 7월까지 울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무균성 뇌막염으로 진단받고 치료한 3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성별, 나이, 임상증상에 대해 조사하였고 말초혈액 검사, 뇌척수액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바이러스 배양검사는 뇌척수액, 분변을 채취하여 실시하였다.
결 과 :
1) 성별 분포는 남아 242례(65.2%), 여아 129례(34.8%)로 남녀비는 1.9:1로 남아에서 더 호발하였다.
2) 연령별 분포는 0-1세 미만군이 14례(3.8%), 1-5세군이 155례(41.8%), 6-10세군이 115례(31.0%), 11-15세군이 87례(23.5%)로 1-5세군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6.8±5.1세였다.
3) 임상증상은 발열 346례(93.3%), 두통 308례(83.0%), 구토 292례(78.7%), 복통 91례(24.5%) 순이었고 경부강직은 60례(16.2%)에서 보였으며 발열의 기간은 평균 3.2±1.8일이었다.
4) 말초혈액 검사상 백혈구 수는 평균 10,355±4,800/mm³였으며 CRP는 평균 0.96±1.67 mg/dL였다.
5) 뇌척수액 검사상 백혈수 수는 6-4,830/mm³으로 평균 212±385/mm³였으며 500/mm³ 미만이 88.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핵구가 평균 29.3±28.9%, 림프구가 평균 55.2±28.8%였다. 뇌척수액의 평균 단백은 37.0±18.9 mg/dL, 당은 68.3±17.6 mg/dL였다.
6) 장바이러스 배양 검사상 바이러스가 분리된 경우는 총 371례 중 67례(18.1%)였다. 이중 분변에서는 98례 중 39례(39.8%), 뇌척수액에서는 371례 중 34례(9.2%)에서 분리되었으며 배양 검사상 분리된 바이러스는 echovirus 6형이 10례, echovirus 9형이 15례, echovirus 11형이 4례, echovirus 13형이 18례, 분류되지 않은 enterovirus가 20례였다.
결 론 : 2002년 울산지역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은 임상 양상이나 뇌척수액 검사소견 등이 지금까지 장바이러스에 의한 뇌막염에 대한 보고와 유사하였으며 원인 바이러스는 echovirus 6, echovirus 9, echovirus 11, echovirus 13, unclassified enterovirus 등이었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re occurred an explosive outbreak of aseptic meningitis in Ulsan, in the year of 2002. In this study, we report clinical manifestations, laboratory data and causative viruses of the outbreak.
Methods : Were assessed 371 children with aseptic meningitis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Ulsan University Hospital in Ulsan between May and July, 2002. We reviewed the sex, age, clinical manifestations, peripheral blood examinations and CSF examinations of the patients. Virus isolation and serotype identification were performed by cell cultures of cerebrospinal fluid and stool.
Results : The ratio of males to females was 1.9:1. The majority of aseptic meningitis occurred in children between 1 and 5 years of age with a mean age of 6.8±5.1 years. The clinical manifestations was fever, headache, vomiting, and abdominal pain and 16.2% of the patients developed neck stiffness. The mean duration of fever was 3.2 days. The mean value of peripheral blood leukocytes was 10,355±4,800/mm³ and the mean value of CRP was 0.96±1.67 mg/dL. Initial CSF findings revealed leukocytes 212±385/mm³, protein 37.0±18.9 mg/dL and glucose 68.3±17.6 mg/dL. Viruses were isolated 67(18.1%) out of 371 patients and the serotypes were echovirus 6 in 10 cases, echovirus 9 in 15 cases, echovirus 11 in 4 cases, echovirus 13 in 18 cases, and unclassified enterovirus in 20 cases.
Conclusion : Aseptic meningitis was prevalent in Ulsan, in the year of 2002.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 laboratory findings of the patients were compatible with those of previous reports. The causative viruses were echovirus 6, echovirus 9, echovirus 11, echovirus 13 and unclassified enteroviru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아간질에서 양전자 단층촬영의 최신지견과 임상적 응용
- 가족성 편마비성 편두통 1례
- 소아 간질 분류에 따른 자기 공명 영상의 유용성 비교
- Landau-Kleffner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0년간(1993-2003)의 통계적 방법론에 대한 분석
- 난치성 소아 간질의 치료
- Flurothyl-유발 발작에 대한 Chlorpromazine의 방어 효과
- 소아에서 발생한 중추신경계의 특발성 혈관염 1례
- 뇌병변 발생시기와 간질 발생 기간과의 관계
- 2002년 울산지역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소아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의 임상양상 및 치료 결과
- 영아기에 시작된 안구마비성 편두통 1례
- 열성 경련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단기 경구 Diazepam과 장기 Valproate 투여의 예방 효과
- 첫 경련이 간질 중첩증으로 발현된 소아의 특성
- 소아의 발달장애
- 열성 경련 환아와 열성 경련 플러스 환아에서 GABAAγ2 Subunit 유전자 GABRG2의 돌연변이 양상
- The Role of ATP on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and Cellular Proliferation in BV-2 Cells
- 열을 동반한 첫 번째 경련 환아에서의 요추 천자 검사의 유용성
- 10번 염색체 장완의 부분 중복 증후군 1례
- 재발한 급성 괴사성 뇌병증 1례
- 뇌 위축을 동반한 Anagelman 증후군 1례
- 두개 이열증을 동반한 Robinow 증후군 (Fetal Face Syndrome) 1례
- 열성 경련 재발의 위험인자에 따른 고위험군 선별에 대한 연구
- 익수 환아의 임상양상과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
- 경련성 질환에서 소변 γ-hydroxybutyric Acid의 증가를 보인 환아의 임상적 분석
- 실험쥐 해마 절편 배양에서 성숙기에 따른 c-Jun 단백발현 양상과 전기적 발작으로 인한 신경원 손상 정도에 관한 연구
- 경련성 환아에서 Valproate에 의한 혈중 지질의 변화와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 연쇄상구균 뇌수막염 후에 발생한 두개내 혈전증 및 뇌피질 출혈 1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언어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의 비교 분석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3 no.3 Contents
- Ending the Diagnostic Odyssey: Making Whole-Exome/Genome Sequencing the First-Line Test for Global Developmental Delay
- A Rare Case of Epileptic Encephalopathy Caused by X-Linked ALG13 Gene Mutation in a 6-Year-Old Girl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