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아 간질 분류에 따른 자기 공명 영상의 유용성 비교
이용수 47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sefulnes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Pediatric Seizure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박샛별(Set-Byul Park) 박우생(Woo-Sang Park) 황진복(Jin-Bok Hwang) 이상락(Sang-Lak Lee) 김준식(Joon-Sik Kim) 김흥식 (Heung-Sik Kim) 이희정(Hee-Jung Lee)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1권 제2호, 277~28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MRI 병변과 뇌파 검사 및 발작 유형에 따른 연관성에 관한 분석을 통해 발작 유형에 따른 MRI검사의 효율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연구 결과에 의해 간질 환아에서 MRI 필요성을 검증하고자 1997년 1월에서 2002년 6월까지 5년 6개월간 계명대학교 동산 의료원 소아과에 내원 및 입원 치료한 소아 간질 환아 중에서 뇌파 검사와 MRI 검사를 함께 시행하였던 환아 236명을 대상으로 신생아 발작군과 전신 발작군, 국소 발작군으로 나누어 분석 하였다.
대상 환아 중 뇌파 소견에서 이상이 있었던 경우는 60%, MRI 이상 소견이 있었던 경우는 39%이었고 각 발작 그룹별 뇌파 소견의 양성률은 신생아 발작(75%), 전신 발작(65%), 부분 발작(55%)의 순이었고 MRI 양성률은 신생아 발작(50%), 부분 발작(41%), 전신 발작(31%)의 순이었다. 뇌파에 이상이 있으면서 MRI 이상 소견을 보였던 경우는 신생아 발작(50%), 전신 발작(35%), 부분 발작(32%)의 순이었고 통계학적 의의는 부분 발작군에서만 관찰되었다. 전신성 발작파를 보인 28명 중 9명(21%)에서 MRI 이상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소아 간질 환아에서는 간잘 발작양상과 뇌파 검사만으로는 정확하고 적절한 간질발작의 분류가 부족하여 신생아 발작과 부분 발작에서는 MRI 검사를 기본적으로 시행하고 전신 발작 환아에서도 뇌파 검사상 특징적인 전신적 발작파가 보이지 않는 경우와 부분 발작이 의심되는 경우 적극적으로 MRI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질환의 정확한 분류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correct classification of seizure is necessary for appropriate evaluation and treatment. Recent development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can provide critical data for classifying epilepsy. But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about its diagnostic efficacy and current use in the initial evaluation of pediatric epilepsy. So we studied the diagnostic efficacy of MRI in pediatric seizure and analyzed whether MRI could be an appropriate screening procedure.
Methods : EEG and MRI of 236 children with seizure admitted at Keimyu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7 to June 2002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Patients were classified by clinical information: neonatal, generalized and partial seizure groups. We comparatively analyzed EEG findings and MRI findings in each group.
Results : According to the MRI findings, the rate of abnormalities of the neonatal seizure group was 50%, 31% in the generalized seizure group and 41% in the partial seizure group. Correlation between the abnormalities of EEG and MRI findings was identified in partial the seizure group(P<0.05).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MRI is an essential diagnostic tool when a neonatal or partial seizure is investigated. And it will be also useful for some patients with generalized seizure who are suspected of partial seizu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소아간질에서 양전자 단층촬영의 최신지견과 임상적 응용
- 가족성 편마비성 편두통 1례
- 소아 간질 분류에 따른 자기 공명 영상의 유용성 비교
- Landau-Kleffner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 대한소아신경학회지 10년간(1993-2003)의 통계적 방법론에 대한 분석
- 난치성 소아 간질의 치료
- Flurothyl-유발 발작에 대한 Chlorpromazine의 방어 효과
- 소아에서 발생한 중추신경계의 특발성 혈관염 1례
- 뇌병변 발생시기와 간질 발생 기간과의 관계
- 2002년 울산지역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에 대한 임상적 고찰
- 소아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의 임상양상 및 치료 결과
- 영아기에 시작된 안구마비성 편두통 1례
- 열성 경련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한 단기 경구 Diazepam과 장기 Valproate 투여의 예방 효과
- 첫 경련이 간질 중첩증으로 발현된 소아의 특성
- 소아의 발달장애
- 열성 경련 환아와 열성 경련 플러스 환아에서 GABAAγ2 Subunit 유전자 GABRG2의 돌연변이 양상
- The Role of ATP on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and Cellular Proliferation in BV-2 Cells
- 열을 동반한 첫 번째 경련 환아에서의 요추 천자 검사의 유용성
- 10번 염색체 장완의 부분 중복 증후군 1례
- 재발한 급성 괴사성 뇌병증 1례
- 뇌 위축을 동반한 Anagelman 증후군 1례
- 두개 이열증을 동반한 Robinow 증후군 (Fetal Face Syndrome) 1례
- 열성 경련 재발의 위험인자에 따른 고위험군 선별에 대한 연구
- 익수 환아의 임상양상과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
- 경련성 질환에서 소변 γ-hydroxybutyric Acid의 증가를 보인 환아의 임상적 분석
- 실험쥐 해마 절편 배양에서 성숙기에 따른 c-Jun 단백발현 양상과 전기적 발작으로 인한 신경원 손상 정도에 관한 연구
- 경련성 환아에서 Valproate에 의한 혈중 지질의 변화와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 연쇄상구균 뇌수막염 후에 발생한 두개내 혈전증 및 뇌피질 출혈 1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언어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의 비교 분석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in Pediatric Patients with KCNQ2-Related Epilepsy: A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in Korea
- Rett-Like Phenotype in a Patient with a Novel Pathogenic FBXW7 Variant
- Neuroleptospirosis in a Patient Admitted to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 Rare Case Repor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