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면편측비대 및 편측큰뇌증이 동반된 Klippel-Trenaunay-Weber 증후군 1례
이용수 13
- 영문명
- A Case of Klippel-Trenaunay-Weber Syndrome with Facial Hemihyp ertrophy and Hemimegalencephaly
- 발행기관
- 대한소아신경학회
- 저자명
- 장현섭(Hyun Sub Jang) 이상윤(Sang Yun Lee) 이윤진(Yun Jin Lee)
- 간행물 정보
- 『Annals of Child Neurology(구 대한소아신경학회지)』대한소아신경학회지 제14권 제1호, 169~17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Klippel-Trenaunay-Weber 증후군은 국내 발표된 증례가 소수 있으나, 본 증례와 같이 좌측 안면부와 반대측 사지의 편측 비대가 발생하면서, 신체의 일부에 화염상 모반이 분포되어 있는 경우는 발표된 증례가 매우 드물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Klippel-Trenaunay-Weber syndrome(KTWS) is a rare, and sporadically occurring disorder characterized by hemihypertrophy(unilateral limb hypertrophy), varicose veins, hemangiomas and occasionally arteriovenous malformations. In 1900, noted French physicians Klippel and Trenaunay first described the syndrome in 2 patients presenting with portwine stains and varicosities of extremities associated with hypertrophy of the affected limb's bones and soft tissues. There are other, and less frequent abnormalities. These may include limbs that are atrophic, fingers and toes that are disproportionately large or small, digits that are webbed (syndactyly), and too many digits(polydactyly), or too few digits(oligodactyly). The hemangiomas can occur in internal organs including the intestinal and the urinary tract systems. The exact cause of KTWS remains to be elucidated, although several theories exist. Most cases are sporadic, although a few cases in the literature report a multifactorial patterns of inheritance. We report a case of Klippel-Trenaunay-Weber syndrome in a 3-year-old boy who had hypertrophy of the left facial bones and tissues, large hemangiomas on the right trunk and back, and hypertrophy of the right upper and lower limb's soft tissues.
목차
서론
증례
고찰
요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면편측비대 및 편측큰뇌증이 동반된 Klippel-Trenaunay-Weber 증후군 1례
- 소아의 외상성 뇌손상
- 소아 편두통에서의 혈청 Matrix Metalloproteinase-9 농도
- 열성경련과 열성경련플러스(GEFS+)에서 인터루킨-1β 촉진자의 다형성
- 쥐 시각피질에서 고칼륨 유도 간질 모양 활동파와 GABA 대항제 및 Carbamazepine
- 열성 경련 플러스의 임상적 특징 및 예측 인자에 대한 연구
- 줄기세포 기본과 소아신경 질환에서의 전망
- 결절성 경화증에서 발생한 비장의 과오종 1례
- 열성 경련시 발열 정도와 열성 경련의 재발
- 만성 반복성 두통 환아에서 간질양 뇌파 소견에 대한 연구
- 신생아 경련의 예후에 대한 점수화 체계
- 급성 위장관염에 동반된 양성 경련에 대한 연구
- 동일 발열 질환 경과 중에 반복되는 재발성 열성 경련과 혈청 나트륨 농도
- 비전형적 급성 시신경염 2례
- 수막뇌염 후 발생한 시상통증증후군 1례
- Panayiotopoulos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 열성 간질중첩증 환아의 임상적 고찰
- 흉통으로 내원한 흉추 경막내 거미막 낭종 1례
- 소아 편두통 진단에 대한 두통 가족력의 영향
- 난치성 소아 간질의 사례별 간질 수술 경험
- 영아기에 연속적인 세균성 뇌수막염으로 발현한 선천성 피부동 증례 1례
- The Clinical and Electroencephalographic Characteristics of Hypomotor Seizures in Children
- 열성경련으로 진단되었던 환아에서 우연히 발견된 허혈성 뇌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수면시간이 청소년들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 노출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언어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영유아 발달 검사와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 척도, 영유아 언어발달검사의 비교 분석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and Functional Outcomes in Pediatric Patients with KCNQ2-Related Epilepsy: A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in Korea
- Rett-Like Phenotype in a Patient with a Novel Pathogenic FBXW7 Variant
- Neuroleptospirosis in a Patient Admitted to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 Rare Case Repor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