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의 평생학습비 규모 및 실태 연구
이용수 306
- 영문명
- Analysis of Life Long Education Expenditure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이광현(Lee, Kwanghyun)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7권 제3호, 113~14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의 성인들의 평생학습 지출 규모와 개인특성에 따른 실태 분석을 통해서 향후 평생교육에 대한 재정지원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수행한 2007년 평생학습 지출실태 조사자료에 대한 분석결과 형식평생교육비용은 약 8조 4백억, 비형식교육비용은 약 3조 4천억 원이 지출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GDP 대비 각각 0.89%, 0.37%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인특성에 따른 지출실태의 경우 고소득 계층과 전문직의 비형식 평생교육에 대한 투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대에는 25-34세 연령대가 다른 연령대보다 투자가 높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비형식 교육에 대한 평균지출비용은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평생교육참여실태와 비슷하게 평생교육투자에서도 고소득, 고학력 계층, 전문직종의 평생교육지출이 높게 나타남으로서 소득과 학력에 따른 평생학습의 불평등구조가 강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교육훈련 바우쳐제도 등을 저소득층과 저학력층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정책이 논의되어야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imed to find policy implication for the direction of financing lifelong learning through the analysis of expenditure for Korean adults' lifelong learning. Using 2007 lifelong learning expenditure survey implement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 found that total expenditure of formal lifelong learning in Korea is about 8,040 billion won and that of informal lifelong learning 3,000 billion won. This is 0.89% and 0.37% of GDP respectively. Pattern of expenditure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ws that high income class and professionals and managers are more likely to invest for informal lifelong learning than low income class and other jobs. Also, the age of 25~34 and more educated people are more likely to invest for lifelong learning than others. This implies that inequality of lifelong learning investment could be worse. Thus, the policy of supporting low income class and less educated people by providing lifelong learning voucher program.
목차
I. 서론
Ⅱ. 지출규모와 지출실태 분석틀 및 분석자료
Ⅲ. 선행연구
Ⅳ. 성인의 평생교육비용실태 조사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