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인별 직무만족 측정도구의 개요와 활용방안
이용수 1,793
- 영문명
- Facet-Based And Facet-Only Job Satisfaction Measur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이영면(Lee, Young-Myon)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5권 제4호, 147~18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 동안 국내에서 직무만족을 측정하는 도구들이 신뢰도나 타당도에 대한 충분한 검토없이 단순하게 번역되고 일부 문항이 편의적으로 추출·활용되는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직무만족을 구성하는 요인별로 측정도구를 정리·제시하여 연구자들이 측정도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론에 대신하여 기존의 측정도구를 어떻게 신뢰도와 타당도를 유지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고려하여 국내에서 적용할 것인가,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조직의 구성원들이 느끼는 요인에 대한 변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존의 측정도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조직 구성원에게 적합한 직무만족 측정도구가 개발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영문 초록
How to measur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an organization has been one of most important issues in organizational behavior area for many decades. However, the tools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employees are not perfect in spite of numerous tools developed by academia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job satisfaction are based on individual's subjective attitudes and also changing over time.
This paper is a result of series of the effort to arrange job satisfaction measures developed in Western countries which have been broadly used in Korea with incomplete translation. Among others, some of representative job satisfaction measures in which general job satisfaction level is calculated by the sum of facet satisfaction levels are presented. Measures specifically to measure the job itself in general are also presented. To measure the satisfaction level to compensation and benefits, job security, working condition, supervisor, co-workers, and some other facets are presented.
A few comments are as follows: (1) the researcher should have criteria when he/she choose a specific measure among many measures; (2) the researcher need to consider the following factors after he/she decides a specific measure for job satisfaction: translation of original questions into Korean with retranslation process and review from the specialist on translation,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number of questions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the determination of weights on each factor if factors are measured; (3) to be careful when new concept or additional questions are added; and (4) to decide whether we need to develop a new measure in Korean.
목차
Ⅰ. 들어가기
Ⅱ. 직무만족 구성요인
Ⅲ. 직무만족 구성요인 측정도구
Ⅳ. 직무만족 측정도구의 활용방안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단법인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정관 외
- 미용인의 이직요인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고용창출에 있어서의 한국중소기업의 역할
- 환경의 불확실성과 전략적 선택이 학습조직 구축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요인별 직무만족 측정도구의 개요와 활용방안
-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지역인적자원개발정책의 추진전략
- 전시참가기업의 부스인적자원관리가 전시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략적 인적자원개발과 조직유효성간 관계 실증연구
- 리더의 감성지능이 팀내 정서적 갈등, 응집성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개념적 연구
- 비정규직 고용의 결정요인이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1세기 노동조합의 생존전략과 역할
- 감성지능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