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더의 감성지능이 팀내 정서적 갈등, 응집성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59
- 영문명
- The Effect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m's Affective Conflict, Cohesiveness,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 저자명
- 함규정(Hahm, Kyue-Jeong) 윤위석(Yun, Wi-Seok)
- 간행물 정보
- 『인적자원관리연구』제15권 제4호, 265~28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연구들에 따르면 감성지능이 다양한 영역에 걸쳐 조직의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Vakola et al, 2004; Spence et al., 2004; Engelberg & Sjberg, 2004; Higgs, 2004; Stephane Cote et al., 2006). 본 연구에서는 리더의 감성지능이 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리더가 높은 감성지능을 가지고 있을 때, 그 리더가 이끄는 팀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팀의 갈등, 응집성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팀 단위로 업무를 수행하는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총 43개 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장의 감성지능이 정서적 갈등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는 팀장의 감성지능이 높으면 높을수록 팀내 인간관계에서 비롯되는 정서적 갈등은 줄은 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팀장의 감성지능이 팀의 응집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팀장의 감성지능이 높으면 높을수록 팀내 구성원간 높은 애착심과 집단에 남아있고자 하는 성향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집단의 응집성이 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 구성원의 참여, 협동, 단결, 애착 수준이 높아지게 되면, 이는 집단의 창의성을 증진하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Druskat와 Wolff(2001)의 연구결과를 다시금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감성지능이 개인수준의 동기나 효과성을 규명하기 보다는 집단 수준에서 감성지능
의 효과성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리더의 감성지능이 집단차원의 갈등, 응집성,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감성지능의 연구 범위를 넓혔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m's conflict, cohesiveness, creativity. For the study, The data are gathered from the employees of the 100 Korean major firms in the manufacturing and other industries. However, the survey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and 172 people of 43teams. All respondents are the team managers and team members of the responding organizations. This study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e validity test and Cronbach's alpha test of the reliability test. Moreove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 in the model.
The result of the analysis presen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is, the more influence on the team's affective conflict and cohesiveness. Team's cohesiveness has mediated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m's creativ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are important variables effects on team effectiveness. However, considering several limit of the study, further study on this matter is required.
목차
Ⅰ. 문제 제기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모형 및 가설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단법인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정관 외
- 미용인의 이직요인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고용창출에 있어서의 한국중소기업의 역할
- 환경의 불확실성과 전략적 선택이 학습조직 구축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요인별 직무만족 측정도구의 개요와 활용방안
- 공공기관의 지방이전에 따른 지역인적자원개발정책의 추진전략
- 전시참가기업의 부스인적자원관리가 전시성과에 미치는 영향
- 전략적 인적자원개발과 조직유효성간 관계 실증연구
- 리더의 감성지능이 팀내 정서적 갈등, 응집성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개념적 연구
- 비정규직 고용의 결정요인이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1세기 노동조합의 생존전략과 역할
- 감성지능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