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expressional subculture on resistant hair-styles late in the 20th century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권미윤(Kwon Mi-You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예술학회지 제6권 제1호, 17~3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3.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we know, hair-styles, which reflect the society, politic, and culture of the time, mean resistance during the latter years of the 20th century and have the idea of expression their common interests that they seek. Therefore, such results are analyzed.
First, the hair-style is a part of culture that people of the time expressed their alienation about the ideology of the culture as an alternative factor.
Second, the low class in society wanted to counterbalance their power to deliver a message as an external form.
Third, as a way of resistant expression, hair-styles of the low class had a message that carries hope for their future. They expressed their thoughts through hair-styles not through unconditional resistance.
Fourth, with using the symbolic tools, symbolic beauty was added to subjective, esthetical idea so that the public, who belonged to low class, could realize the essence of life.
Such a resistance would be continued due to the personal difficulties from the change, which comes up with the globalization. It is considered that such a research would be helpful which is related to this.
First, the hair-style is a part of culture that people of the time expressed their alienation about the ideology of the culture as an alternative factor.
Second, the low class in society wanted to counterbalance their power to deliver a message as an external form.
Third, as a way of resistant expression, hair-styles of the low class had a message that carries hope for their future. They expressed their thoughts through hair-styles not through unconditional resistance.
Fourth, with using the symbolic tools, symbolic beauty was added to subjective, esthetical idea so that the public, who belonged to low class, could realize the essence of life.
Such a resistance would be continued due to the personal difficulties from the change, which comes up with the globalization. It is considered that such a research would be helpful which is related to thi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20세기 미용문화양상에 대한 고찰
Ⅲ. 하위문화와 저항문화
Ⅳ. 시대별 저항적 헤어스타일에 대한 미적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Ⅱ. 20세기 미용문화양상에 대한 고찰
Ⅲ. 하위문화와 저항문화
Ⅳ. 시대별 저항적 헤어스타일에 대한 미적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뷰티살롱 커리큘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성격유형이 의복이미지와 헤어스타일에 미치는 영향
- 적색(赤色)에 대한 동서양 색채개념에 대한 비교 연구
- 뷰티산업 근무자의 색채 인식의 선호도 조사연구 - 미용실 근무자의 염색 시술을 중심으로
- 高句麗 古墳壁畵의 여성 頭髮에 나타난 美的 표출 양상과 사회ㆍ종교적 通念의 相關關係
- 스포츠 스타의 헤어스타일 선호도 분석 - 2002년 한일 월드컵 스타를 중심으로
- 20세기 후반 하위문화에 나타난 저항적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 속눈썹(Eyelashes) 미용이 물체 인식과 시력에 미치는 영향
- 학회소식 외
- 신라시대의 화장(化粧)문화와 드라마 〈海神〉의 등장인물 분장(扮裝)의 비교분석
- 영화 〈사의 찬미 死의 讚美〉에 표현된 1920년대 의상 및 화장에 관한 연구
- 성의 해체에 따른 헤어스타일에 관한 연구
- 미용인의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헤어디자이너를 중심으로
- 무대분장에 대한 공연자 인식 조사
- 자연주의(Naturalism) 경향의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 審美的 假髮着用의 史的考察 - 바로크 시대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kin pressure by external pressure on circadian rhythms of core temperature and salivary melatonin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