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현황 및 전망
이용수 158
- 영문명
-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림금숙(Lin Jin Shu)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7권, 191~21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0.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국제경제활동에서 산업내 무역은 이미 국제적 분업과 각국의 산업구조정 및 주도산업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한ㆍ중 수교 이후 한ㆍ중무역의 급격한 신장과 더불어 수출입상품구조도 변화하여 산업간 무역에서 산업내 무역에로 탈바꿈하고 있다. 각국의 경제 실정이 다르기에 산업내 무역의 일반이론으로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원인분석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문은 중국대외무역의 주요 형태인 가공무역, 한국기업의 대중국투자 및 중국산업구도의 고도화 등 측면으로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원인을 분석하고저 하였다.
한ㆍ중 산업내 무역이 신속히 신장하였으나 그 성격은 여전히 수직적 산업내 무역에 속한다. 이는 한ㆍ중 양국 제조업의 기술력 격차를 설명하는 동시에 중국 가공무역위주의 무역방식의 문제점도 제시해 주고 있다.
현재 한ㆍ중 수출입상품구조를 보면 전자, 화공, 철강, 자동차, 섬유 등 6개 영역에서 산업내 무역 비중이 가장 크며 한국기업의 대중국투자도 위의 영역에 집중되었다. 따라서 향후 일정 시일 동안 한ㆍ중 산업내 무역은 위의 6개 영역을 중심으로 전개 될 전망이다,
한ㆍ중 산업내 무역은 양국의 대외무역의 증대, 기술의 파급, 규모경제, 국제경쟁력의 증대, 연구 개발의 추진 및 사회후생증대 등 다방면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동시에 산업내 무역의 기술파급효과를 통한 한국의 비교우위 약화와 한국기업의 비용 감소 효과를 위한 대중국투자의 증대로 인해 중국으로부터의 역수입이 증가하는 등 산업공동화 현상이 나타날 우려도 있어 여기에 상응한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보아진다.
한ㆍ중 수교 이후 한ㆍ중무역의 급격한 신장과 더불어 수출입상품구조도 변화하여 산업간 무역에서 산업내 무역에로 탈바꿈하고 있다. 각국의 경제 실정이 다르기에 산업내 무역의 일반이론으로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원인분석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문은 중국대외무역의 주요 형태인 가공무역, 한국기업의 대중국투자 및 중국산업구도의 고도화 등 측면으로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원인을 분석하고저 하였다.
한ㆍ중 산업내 무역이 신속히 신장하였으나 그 성격은 여전히 수직적 산업내 무역에 속한다. 이는 한ㆍ중 양국 제조업의 기술력 격차를 설명하는 동시에 중국 가공무역위주의 무역방식의 문제점도 제시해 주고 있다.
현재 한ㆍ중 수출입상품구조를 보면 전자, 화공, 철강, 자동차, 섬유 등 6개 영역에서 산업내 무역 비중이 가장 크며 한국기업의 대중국투자도 위의 영역에 집중되었다. 따라서 향후 일정 시일 동안 한ㆍ중 산업내 무역은 위의 6개 영역을 중심으로 전개 될 전망이다,
한ㆍ중 산업내 무역은 양국의 대외무역의 증대, 기술의 파급, 규모경제, 국제경쟁력의 증대, 연구 개발의 추진 및 사회후생증대 등 다방면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동시에 산업내 무역의 기술파급효과를 통한 한국의 비교우위 약화와 한국기업의 비용 감소 효과를 위한 대중국투자의 증대로 인해 중국으로부터의 역수입이 증가하는 등 산업공동화 현상이 나타날 우려도 있어 여기에 상응한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보아진다.
영문 초록
Nowadays in the international economic activity ,trade inside industrie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s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and promotes the infant and leading industry. Since Korea and China established the diplomatic relations,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has developed fast. Meanwhile, the structure of goods imports and exports has changed from trade among industries in early days to trade inside industries. China is a country which has changed from planned economic system to market economic system. In many areas. China has taken the special economic policies, for example, the processing trade policy in the foreign trade. So, the common theory of trade inside industries is difficult to offer a very adequate explanation for the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fore, the thesis tries to analyze the causes of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accordance with the concrete situations, ie, Chinese foreign trade way in which the processing trade is major, and the way foreign business enterprises invest in China, and the upgrade of Chinese industry structure, and so on. According to the trade inside industries index measurement , furtherly make sure the nature of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plays an active role in enlarging the foreign trade volume of two countries, strengthening the industry cooperation, improv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ability of enterprises. At the present,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es on six areas, which are electron, steel, motorcar, petrol chemical industry, machine, and fibre. Also, investment of Korean enterprises in China focuses on these areas. So, in the future, the trade inside industries of two countries develops among these areas.
The research of the subject is somewhat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meaningful to enlarge the foreign trade volume, strengthen the industry cooperation of two countries and promote the upgrade of Chinese industry structure.
Therefore, the thesis tries to analyze the causes of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in accordance with the concrete situations, ie, Chinese foreign trade way in which the processing trade is major, and the way foreign business enterprises invest in China, and the upgrade of Chinese industry structure, and so on. According to the trade inside industries index measurement , furtherly make sure the nature of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plays an active role in enlarging the foreign trade volume of two countries, strengthening the industry cooperation, improv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ability of enterprises. At the present, trade inside industries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es on six areas, which are electron, steel, motorcar, petrol chemical industry, machine, and fibre. Also, investment of Korean enterprises in China focuses on these areas. So, in the future, the trade inside industries of two countries develops among these areas.
The research of the subject is somewhat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meaningful to enlarge the foreign trade volume, strengthen the industry cooperation of two countries and promote the upgrade of Chinese industry structure.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산업내 무역 이론
3.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현황
4.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원인
5.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성격
6. 한ㆍ중 산업내 무역이 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7.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발전 방향
8. 결속어
〈참고문헌〉
Abstract
1. 머리말
2. 산업내 무역 이론
3.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현황
4.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원인
5.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성격
6. 한ㆍ중 산업내 무역이 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7.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발전 방향
8. 결속어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파스콜리(Pascoli) 시학의 특성 연구 - 이탈리아 데카덴티스모(Decadentismo)와의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 Shattering the Bourgeois Bottle - Decadence, Violence, and Resistance in Festus Iyayi’s Violence
-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리더십 생활기술과의 관계
- 한국의 구전문학에 나타나는 여성들의 저항성 연구
- 지속가능한 연안관리를 위한 생태경제학적 접근방안
- 송징 전설의 범주 규정 및 계열 분류와 당제 유래전설의 서사원형 고찰
- 현대 아랍시에 나타난 예수와 무함마드의 이미지 연구
- 한ㆍ중 산업내 무역의 현황 및 전망
- 2006년 연구소 활동 외
- 교육심리학에 있어서 인식론 연구의 논쟁과 영향
- 북한 조약법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