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白居易를 중심으로 살펴 본 中ㆍ日詩歌論 比較
이용수 68
- 영문명
- A comparative poetics of China & Japan focused on Bai-Juyi(白居易)
- 발행기관
-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안수현(An Soo-Hyun)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8권 제1호, 137~1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白居易문학을 중심으로 日本詩歌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골자이다. 이를 위하여 詩歌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노래의 3요소인 心ㆍ詞ㆍ姿를 효용론적 개념과 예술론적 개념으로 나누어 파악하기 위하여 白居易와 中, 日의 대표적인 歌人이라 할 수 있는 스가와라노 미치자네(菅原道眞)와 후지와라노 테이카(藤原定家)를 각각 대비, 고찰하였다.
영문 초록
To begin with, I tried to make comparative study of poetics of China & Japan. Generally there ate the 3 elements of poem like Kokoro(心), Kotoba(詞) and Sugata(姿). According to systematic combination of those elements, the poem will be written as a work perfectly. As a poet and critic, Fujiwara no Teika(藤原定家) composed works almost exclusively in the waka(和歌), the dominant lyrical form of the Japanese classical period. He emphasized that all the poems should express its sense of emotional detachment, evocative Y?en(妖艶) ("ethereal beauty") style, and authoritative conviction Ushin(有心), is considered among the most influential in the Japanese poems. Admired for his originality in the composition of practical and theoretical works from Chinese Poetics particularly by Bai-Juyi(白居易). So, what can I find out Teika"s poetic anthologies and theoretical works? Therefore what is the principal of the real poem to have to write. Teika, Michizane(道眞) and Bai-Juyi(白居易)"s aesthetic theories through representative works of classical Japanese poems.
목차
〈국문요약〉
Ⅰ. 序論
Ⅱ. 心ㆍ詞ㆍ姿의 諸問題
Ⅲ.
Ⅳ.
Ⅴ. 結論
參考文獻
Abstract
Ⅰ. 序論
Ⅱ. 心ㆍ詞ㆍ姿의 諸問題
Ⅲ.
Ⅳ.
Ⅴ. 結論
參考文獻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콜리지(Coleridge) 시의 종교적 언어 - 『노수부의 노래』에서
- 미군정기(1945-1948)의 국호논쟁에 대한 고찰
- 白居易를 중심으로 살펴 본 中ㆍ日詩歌論 比較
- The Tower of Babel: Imperial Constructive and Deconstructive Intentions
- 수화 부정문 연구
- 2007년 연구소 활동 외
- 학교교육 차원에서의 사교육비 경감 방안 모색
- 2000년대 지방의회의원의 충원의 특징과 변화양상
- 排出權去來制度 影響分析을 위한 CO₂排出 豫測模型
- 들뢰즈의 기관 없는 신체와 아르토의 잔혹 연극
- 이현화 시나리오의 장면(scene) 구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