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Policy Network on the Process of 40-hour Workweek Legisl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정관리학회
- 저자명
- 고혜원(高惠媛)
- 간행물 정보
- 『현대사회와 행정』第17卷 第3號, 333~361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주 40시간 근무제 입법화과정을 정책 네트워크 모형에 입각하여 정책 행위자, 정책 이슈, 네트워크 행위자 간 상호작용, 관계구조 그리고 정책산출이라는 다섯가지 요소로 분석하였다.
중심 정책행위자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경총과 전경련, 노사정위원회와 노동부, 대통령, 여당과 야당이었다. 정책 이슈는 시기별로 변화가 있었는데, 초기에는 도입 자체가 이슈가 되었으나, 사회 전체적으로 주5일제가 대세로 굳어지자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을 전제로 휴일과 휴가 등의 관련제도를 어떻게 새롭게 설정할 것이냐의 문제가 이슈가 되었다.
도입을 찬성하는 노동계나 경영계 내부에서는 각 조직들 간에 수평적 연계구조가 나타났고, 일부 갈등이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기본적으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조정자에 대해 노동계는 불신하는 입장에서 집회, 파업 등의 방법을 동원하여 의견을 제시하였고, 경영계 또한 불신하는 입장에서 자신들의 입장을 관철하는 요구를 지속하였다. 노사정위원회와 정부는 노동계에는 회유와 강경대처, 공권력 투입의 방법을 동원하였고, 경영계에는 요구를 수용하면서 회유하는 방법을 동원하였다. 주 40시간 근무제는 이러한 노동계 및 경영계, 조정자 등의 다양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산출되었다.
중심 정책행위자는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경총과 전경련, 노사정위원회와 노동부, 대통령, 여당과 야당이었다. 정책 이슈는 시기별로 변화가 있었는데, 초기에는 도입 자체가 이슈가 되었으나, 사회 전체적으로 주5일제가 대세로 굳어지자 주 40시간 근무제 시행을 전제로 휴일과 휴가 등의 관련제도를 어떻게 새롭게 설정할 것이냐의 문제가 이슈가 되었다.
도입을 찬성하는 노동계나 경영계 내부에서는 각 조직들 간에 수평적 연계구조가 나타났고, 일부 갈등이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기본적으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조정자에 대해 노동계는 불신하는 입장에서 집회, 파업 등의 방법을 동원하여 의견을 제시하였고, 경영계 또한 불신하는 입장에서 자신들의 입장을 관철하는 요구를 지속하였다. 노사정위원회와 정부는 노동계에는 회유와 강경대처, 공권력 투입의 방법을 동원하였고, 경영계에는 요구를 수용하면서 회유하는 방법을 동원하였다. 주 40시간 근무제는 이러한 노동계 및 경영계, 조정자 등의 다양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산출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ses the dynamics of 40-hour workweek legislation process. For this, policy network model was largely referred as a main theoretical perspective.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is study was made of five major components including network actors, policy issue, actor"s interaction, relationship structure and policy outputs. The legislation process of the Labour Standards Act to introduce the 40-hour workweek was examined in four phas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national workers" society, the management society, the tripartite commission, the administrations, and the politics participated in policy network. They made 40-hour workweek system with diversity interactions. Labour communities and the financial circles took leading roles in network. Tripartite commission and the administrations were mediation actor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national workers" society, the management society, the tripartite commission, the administrations, and the politics participated in policy network. They made 40-hour workweek system with diversity interactions. Labour communities and the financial circles took leading roles in network. Tripartite commission and the administrations were mediation 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
Ⅲ. 입법화 과정의 전개
Ⅳ. 분석결과
Ⅴ. 요약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Ⅱ.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
Ⅲ. 입법화 과정의 전개
Ⅳ. 분석결과
Ⅴ. 요약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국정관리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지방자치단체 계약직 공무원 제도의 개선방안 - 인천광역시 계약직 공무원 제도를 중심으로
- 주 40시간 근무제 입법화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노인복지주택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연구 - 도와 시ㆍ군 개편기준과 대안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 접경지역의 성격과 접경지역정책의 변화방향 - 경기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 일제하 조선인 문관고등시험 합격자 분석
- 한국 행정문화 연구에 관한 비판적 분석
- 지방축제의 서비스 질의 구성요인이 관람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 비엔날레를 중심으로
- 외교인적자원관리차원에서 조망한 해외입양아정책과 국제행정
- 경제사회학적 관점에서의 경제적 행동 논의
- 국가 위기관리 정책의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 - AHP 기법을 이용한 우선순위 측정을 중심으로
- 세계화와 생산체제의 재편 - 네덜란드와 스웨덴의 노동시장정책과 사회적 합의제도
- 한국 범죄통계관리 분석과 발전방안 - 경찰 범죄정보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 정책담론의 정향성 - 왜곡 담론을 넘어 제도화로
- 지방의회 사무직원 인사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