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Policy Areas: Measuring the Priorit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국정관리학회
- 저자명
- 이재은(李在恩) 유현정(兪炫汀) 안철현(安喆鉉) 정병윤(鄭炳允)
- 간행물 정보
- 『현대사회와 행정』第17卷 第3號, 277~299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12.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참여정부 들어와 국가 위기관리를 위한 개념적 틀이 새롭게 수립?적용되어 운용되고 있으나, 아직 국가위기관리 정책의 분야별 유형화 노력과 발전에 관한 체계적인 논의가 부족하여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혼란은 초기 정책 형성 및 체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향후 국가 위기관리 정책의 발전을 위해서는 학자 및 실무자들 사이에서의 담론을 통해 해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향후 국가 위기관리 체계를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국가 위기관리 정책의 유형별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측정?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 정부 이후 도입된 포괄적 안보 개념을 검토하고, 현재의 국가 위기의 분야별 내용을 분석하는 한편, 향후 포괄해야 할 새로운 유형의 국가 위기관리 정책의 대상 영역인 국민 생활 위기 영역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그 결과 해방 이후 현재까지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던 안보 위기 영역의 내용보다 재난 위기나 핵심기반 위기 영역의 유형들이 최근 상대적 중요도 측면에서 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목적은 향후 국가 위기관리 체계를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국가 위기관리 정책의 유형별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측정?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현 정부 이후 도입된 포괄적 안보 개념을 검토하고, 현재의 국가 위기의 분야별 내용을 분석하는 한편, 향후 포괄해야 할 새로운 유형의 국가 위기관리 정책의 대상 영역인 국민 생활 위기 영역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그 결과 해방 이후 현재까지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던 안보 위기 영역의 내용보다 재난 위기나 핵심기반 위기 영역의 유형들이 최근 상대적 중요도 측면에서 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policy area and policy variables in the field of the national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by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As such, this study deals with life safety crisis, conventional security crisis, disaster crisis, and critical infrastructure crisis in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security. In order to measure relative importance of various types of the national crises, four measurement fields and sixteen measurement indices were developed. The major findings and result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conventional security crisis area has been perceived most important area among the policy areas. Next, critical infrastructure area has got the second grade importance. Finally, seeing generally, disaster crisis, including both natural and man-made disaster, is highly perceived most important crisis, and then atomic critical infrastructure crisis has been also perceived important crisis as a third priority grade among the total cri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실증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Ⅱ. 이론적 논의
Ⅲ. 실증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국정관리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지방자치단체 계약직 공무원 제도의 개선방안 - 인천광역시 계약직 공무원 제도를 중심으로
- 주 40시간 근무제 입법화과정의 정책네트워크 분석
- 노인복지주택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
-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연구 - 도와 시ㆍ군 개편기준과 대안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 접경지역의 성격과 접경지역정책의 변화방향 - 경기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 일제하 조선인 문관고등시험 합격자 분석
- 한국 행정문화 연구에 관한 비판적 분석
- 지방축제의 서비스 질의 구성요인이 관람객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 비엔날레를 중심으로
- 외교인적자원관리차원에서 조망한 해외입양아정책과 국제행정
- 경제사회학적 관점에서의 경제적 행동 논의
- 국가 위기관리 정책의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 분석 - AHP 기법을 이용한 우선순위 측정을 중심으로
- 세계화와 생산체제의 재편 - 네덜란드와 스웨덴의 노동시장정책과 사회적 합의제도
- 한국 범죄통계관리 분석과 발전방안 - 경찰 범죄정보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 정책담론의 정향성 - 왜곡 담론을 넘어 제도화로
- 지방의회 사무직원 인사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경찰공무원의 보수체계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청소년 사이버폭력과 디지털 혐오표현의 폭력순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차별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 고도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