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What Is and Is Not Social Capital? -사회적 자본의 이론적 개념과 오류-
이용수 682
- 영문명
- What Is and Is Not Social Capital?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저자명
- Sung-Choon Kang(강성춘) Jong-hoon Bae(배종훈)
- 간행물 정보
- 『인사조직연구』인사·조직연구 제15권 제3호, 225~25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사조직분야에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점차적인 관심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에 대해서는 여전히 약간의 혼란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에서 나타나고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이슈들을 정리하면서 사회적 지본의 이론적 개념을 명확히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사회적 자본이 문화 혹은 제도와 어떻게 차별화되는지를 고찰한다. 다음, 본 연구는 사회적 자본의 여섯 가지 핵심 특성을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1) 사회적 자본은 공공재가 아니며, 2) 사회적 자본은 둘 이상의 행위자간의 관계에 의해 정의되며, 3) 사회적 자본의 행위주체가 그들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활용하는 사회적 관계이며, 4) 사회적 자본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행위지들에게 이전될 수 있으며, 5) 사회적 자본에 대한 구조적 설명과 관계적 설명은 서로 독립적이며, 마지막으로 6) 사회적 자본은 성격상 다층모형을 통해 정의되며, 개인 행위자의 이해관계에 의해서 매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영문 초록
Despite increasing interests in social capital in the management field, there are still theoretical confusions about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This review aims at clarifying the nature of social capital by addressing several important theoretical issues in the social capital research. In doing so, we distinguish social capital from culture or institution at the society level and from transaction-specific investments or interpersonal trust at the dyad level. We argue: 1) social capital is not the public good; 2) social capital should be defined on relations involving more than two persons; 3) social capital is a set of relations exploited by actors to realize their goals; 4) social capital is transferable across multiple goals and actors; 5) relational embeddedness or tie-strength based account of social capital cannot be a substitute for the structure-based account of social capital; and 6) social capital is multi-level in nature and should be always mediated by the realization of individual actors" interest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Alternative Understandings of Social Capital
Ⅲ. Nature of Social Capital
Ⅳ.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Ⅴ. Unit of Analysis of Social Capital
Ⅵ. Conclusion
REFERENCE
Ⅰ. Introduction
Ⅱ. Alternative Understandings of Social Capital
Ⅲ. Nature of Social Capital
Ⅳ. Dimensions of Social Capital
Ⅴ. Unit of Analysis of Social Capital
Ⅵ.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Journal of Asian Business innovation (JABI) Vol.2 No.1 Contents
- Assessing the Influence of Downgrade Momentum on Evaluating Credit Migrating Metrices
- Study on the Management Mechanisms of Ar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