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석창포가 뇌졸중에 미치는 행동약리학적 연구

이용수  94

영문명
Behavioral pharmacological studies of Acori Graminei Radix on the global cerebral ischemia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저자명
함용운(YongWoon Ham)
간행물 정보
『보건과학논집』保健科學論集 Vol.30 No.2, 11~2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12.0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석창포(石菖蒲)는 전통의학에서 신체를 강화시키는 치료제로서 알려져 있다. 신경(神經)과 인지(認知) 상해로 유도한 石菖蒲의 大腦 虛血에서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해마(海馬)의 세포를 고사(枯死)시킨 뇌허혈(腦虛血) 모델에서와 수중 미로(迷路) 실험과 수동회피(受動 回避) 반응에서의 학습(學習)과 기억(記憶)에 대한 석창포의 작용을 연구하였다. 실험방법은 백서(白鼠)에 10분간 대뇌에 전뇌허혈(前腦虛血)을 일으키고 재관류(再灌流)하였다. 前腦虛血 후 0분과 90분에 石菖蒲를 100 mg/kg의 농도로 복강주사를 한 결과 해마에서 48.4%의 신경 세포 보호(神經細胞保護)효과를 나타내었다. 행동실험에서는 100㎎/㎏의 농도로 물에 녹인 石菖蒲를 2주일간 경구(經口)투여하고 운동 학습을 시켰다. 학습은 5일간 고정된 도피대를 찾는 것을 가르치고(學習), 6일째는 도피대를 제거한 채 90초 내에 도피대가 있던 자리를 찾아가는 것이다(記憶). 受動 回避 반응운동은 하루에 한번씩 1주일동안 실시하였다. 腦虛血 유발된 백서(白鼠)는 回避 반응에서 장애(障碍)를 보였다. 행동실험과 해마의 CA1 부분에서 세포고사(細胞枯死)를 유도한 腦虛血에서 石菖蒲를 투여한 결과 石菖蒲는 신경세포 손상과 記憶과 學習의 장애로 유도한 腦虛血에서 신경 세포 보호(神經細胞保護)효과를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Acori Graminei Rhizoma(AR) occupies a particular place in oriental folk medicine as so called tonic remedy.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ARinfluenced cerebral ischemia induced neuronal and cognitive impairments,  we examined the effect of AR on ischemia-induced cell death in the hippocampus, and on the impaired learning and memory in the Morris water maze and passive avoidance in rats. Rats were induced to 10 minutes of forebrain ischemia by four vessel occlusion (4-VO) and reperfused again. AR, when administered to rat at a dose of 100 ㎎/㎏ i.p. water extracts to 0 minutes and 90 minutes after 4-VO, significantly neuroprotective effects by 48.4% in the hippocampus of treated rats. For behavior test, rats were administered saline AR(100 ㎎/㎏ p.o.) daily for two weeks, followed by their training to the tasks. The animals were trained to find a platform in a fixed position during 5 days and then received a 90-s probe trial in which the platform was removed from the pool on the 6thday. In the passive avoidance, animals were one time per day for 1 week. Rats with ischemic insults showed impaired avoidance test. Treatment with AR produced a marked improvenent in escape latency to find the platform in the Morris water maze. AR reduced the ischemia-induced learning disability in the passive avoidance. Consistent with behavioral data, treatments with AR reduced ischemia-induced cell death in the hippocampal CA1 area. These results showed that AR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ischemia-induced neuronal loss and learning and memory damage.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실험방법
Ⅲ. 실험결과
Ⅳ. 고찰
Ⅴ.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용운(YongWoon Ham). (2004).석창포가 뇌졸중에 미치는 행동약리학적 연구. 보건과학논집, 30 (2), 11-21

MLA

함용운(YongWoon Ham). "석창포가 뇌졸중에 미치는 행동약리학적 연구." 보건과학논집, 30.2(2004): 1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