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방형 고등교육체제의 제도화 동인에 관한 비교연구
이용수 271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driving force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Open Higher Education System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정경순(Jung Kyung-Soon)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179~20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개방대학이나 원격대학 등과 같은 개방형 고등교육체제가 범세계적으로 제도화되는 동인(driving force)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입수가 가능한 188개 국가를 대상으로 1948년부터 2005년까지의 횡단적ㆍ시계열적 자료를 취합하여 기능주의, 지위경쟁론, 신자유주의, 사회학적 제도주의의 네 관점에서 비교연구(cross-national analysis)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개방형 고등교육체제는 개별국가의 특유한 상황적 조건과는 상관없이 범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그 핵심 동인은 국가 내외의 기능적 필요 못지않게 개별행위자의 의식구조 속에 당연한 것으로 인지되고 있는 문화 이데올로기에 대한 믿음이 반영된 것임을 보여주었다. 이는 개방형 고등교육체제가 세계정치문화체제(world polity)라는 초국가적 문화 환경 속에서 정당화되어진 보편적 문화 이데올로기들, 특히‘평생학습사회의 구현’과 같은 교육담론들을 반영하는 제도적 산물로 수용되어 범세계적으로 동형적인 모습을 띠며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 개방형 고등교육체제는 개별국가의 특유한 상황적 조건과는 상관없이 범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그 핵심 동인은 국가 내외의 기능적 필요 못지않게 개별행위자의 의식구조 속에 당연한 것으로 인지되고 있는 문화 이데올로기에 대한 믿음이 반영된 것임을 보여주었다. 이는 개방형 고등교육체제가 세계정치문화체제(world polity)라는 초국가적 문화 환경 속에서 정당화되어진 보편적 문화 이데올로기들, 특히‘평생학습사회의 구현’과 같은 교육담론들을 반영하는 제도적 산물로 수용되어 범세계적으로 동형적인 모습을 띠며 확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riving force of the global institutionalization of the open higher education system(OHES). A comparative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four theoretical perspectives, which were functionalism, status conflict theory, neoliberalism, and sociological institutionalism, analysing crossnational historical data of 188 countries from 1948 until 2005.
The result shows that OHES has expanded and institutionalized at a global level largely independent of countryspecific conditions.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OHES can be understood as a cultural and ideological project mostly driven by educational discourse and ideology in the modern world polity. The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claiming the ‘ideological constructed needs’ affected by educational discourse in the world society has more persuasive than the conventional ones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based on the ‘real needs’ by functional utility.
It suggests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OHES is a worldwide phenomenon legitimated in the transnational cultural environments reflecting universalistic educational rationales and ideologies, especially lifelong education discourse such as “lifelong learning society”.
The result shows that OHES has expanded and institutionalized at a global level largely independent of countryspecific conditions.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OHES can be understood as a cultural and ideological project mostly driven by educational discourse and ideology in the modern world polity. The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claiming the ‘ideological constructed needs’ affected by educational discourse in the world society has more persuasive than the conventional ones in the sociology of education based on the ‘real needs’ by functional utility.
It suggests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OHES is a worldwide phenomenon legitimated in the transnational cultural environments reflecting universalistic educational rationales and ideologies, especially lifelong education discourse such as “lifelong learning socie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설 설정 및 변인 선정
Ⅳ. 결과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설 설정 및 변인 선정
Ⅳ. 결과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제의 비교교육사적 고찰
- Explor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upil engagement with IT in the secondary school in Korea and the UK
- 미국의 적극적 차별 수정 정책(Affirmative Action)의 전개과정과 시사점 - 역대 행정부를 중심으로
- 캐나다와 한국 두 초등학교 교실의 교육활동 비교
- 프랑스 교육의 특성에 따른 교사교육의 변화
- 한국비교교육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헤르만 리츠(H. Lietz)의 교육이념과 교육실천의 주요원리
- 우수 고교생의 대학진학준비 교육과정으로서의 AP와 IB의 비교 연구
- 미국 학제의 변천 - 초ㆍ중등교육의 수업연한을 중심으로
- 한ㆍ일 특수학교의 치료교육활동 비교
- The study of Transi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USA
- 개방형 고등교육체제의 제도화 동인에 관한 비교연구
- Perceptions and Responses of Korean Social Studies Teachers Regarding September 11
- 한국과 스웨덴의 과학, 기술, 공학교육분야에서의 젠더 문제와 성평등정책 비교 분석
- 조직문화 접근을 통한 한국과 OECD 5개국의 교장임용제도 비교분석
- 미국 홈스쿨링의 제도화 과정분석과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